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인사위원회가 지난 1일 2007년도 행정·외무고시 1차 시험부터 합격자의 일정 비율을 지방대학 출신에 할당하는 '지방인재 채용 목표제'를 5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히자 네티즌 사이에서 찬반양론이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서울지역 대학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주장과 함께 '지방대라고 무시하느냐'는 항의성 댓글이 대다수다. 그러나 이 문제의 보다 큰 본질은 '기회균등'에 있다고 본다. 중앙인사위가 현재 전체 응시자 중 지방대 출신 학생 비율이 76%에 달하지만 고시 최종 합격자 비율은 최근 5년간 평균 14%에 머무는 등 서울과 지방 간 인재 채용의 불균형이 심각하다고 주장했듯이 지방대 출신은 졸업을 하고도 이렇다하게 갈 만한 직장이 없다. 즉 지방대 출신들이 왜 고시와 공채시험에만 몰리느냐는 이유를 먼저 따져볼 필요가 있다. 대기업의 본사가 대부분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지방대생들의 대기업 취업문은 상대적으로 좁을 수밖에 없다. 물론 성적 등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하지만 취업추천서 한 장을 거머쥐기도 하늘의 별 따기가 된 현실이 문제다.
 이렇다 보니 지방대생들이 실력으로 승부를 걸어볼 수 있는 자리는 공무원과 공기업뿐이다. 지방대생들에게도 서울소재 대학들처럼 폭 넓은 취업의 문이 열려 있다면 굳이 고시에만 죽으라고 몰릴 이유가 있겠는가. 예컨대 대기업이 지방대학에도 동등한 취업 기회를 준다면, 고시에 몰릴 인재를 그만큼 줄일 수 있는 것은 불문가지다. 또 서울소재 대학의 재학생들처럼 합격 가능한 인재들만 응시할 수 있을 것이다. 취업이 안 되니 고시라도 하자는 지금의 풍토를 바꾸는 것이 급선무다. 지방대생들이라고 해서 무슨 '적선'이라도 하는 냥 비치는 지금의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중앙인사위의 이 같은 방안에 대해 능력을 기준으로 뽑는 국가 공무원 모집 시험에 지방대 출신이라는 이유로 '특혜'를 주는 조치는 서울 출신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논리와 지방균형 발전을 위한 고육책으로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정책이라는 주장이 맞서면서 팽팽한 논란을 벌이고 있다. 특히 일부 네티즌들이 고등학교까지 지방에서 졸업하고, 성적이 상대적으로 좋아(?) 서울 소재 대학으로 진학한 학생들은 지방인재가 아니냐는 감정 섞인 반발에 지방대 출신이라고 무시하는 것이냐는 격앙된 주장으로 맞불을 놓으면서 감정싸움 조짐도 일고 있다. 때문에 사기업들에게 취업기회라도 동등하게 주라는 것을 정부 차원에서 먼저 독려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