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국각지의 귀를 매혹시키다

   
▲ '백년의 빛' 울기등대
조선업의 메카 동구가 문화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생생문화재 사업 '백년의 빛, 천년의 소리를 찾아서'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동구의 아름다운 소리 9가지 중 울기등대, 몽돌해변, 슬도의 세 가지 소리가 이 사업에 선정됐다. 주변에 늘 있어왔기에 어쩌면 그 아름다움을 대수롭게 여겨 왔을지도 모르는 울기등대 무산소리와 몽돌해변의 물빠지는 소리, 슬도의 파도소리가 이제는 전국각지로 그 유명세를 떨치게 된 것이다.


 이번 사업선정은 동해안 최초의 등대이자 우리나라 근대화의 대표적 역사자원인 '울기등대'의 가치를 재발견했다는 평가와 동시에 울기등대와 대왕암공원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험·관광프로그램의 마련을 위한 발판이 되고 있다.
 
# '백년의 빛' 울기등대
울기등대는 지난 1906년 3월 26일(고종 광무 10년) 지금의 모습으로 지어져 그로부터 약 80년간 등대불을 밝혔다. 이번 사업에서 울기등대가 '백년의 빛'에 선정된 이유다.


 1911년 3월 간행한 항로표지관리소 제3년보를 보면 울기등대에 관한 기록이 나와있는데 1904년 12월 22일 일본해군성이 채신성에 의탁해 백뢰등대, 한국울산울기등간, 동국 제주도북동단 우도등간에 공사를 착수한 뒤 3주 만에 준공 점화했다는 기록이 남겨져있다.


 사실 1905년 포츠머스 조약체결 당시 등대는 선박을 안전하게 항해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보다는 일본해군이 러일전쟁 시 해상권 장악을 위한 군사 전략적 역할로 이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랬던 울기등대가 지금은 대왕암과 마주하고 있는 명소가 됐다. '울기(蔚埼)'는 '울산의 끝'이란 뜻.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등대는 100년 넘게 선박의 든든한 파수꾼으로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해무가 짙게 깔리면 안개를 헤치고 들려오는 무산 소리는 깊은 여운을 남긴다.


 동구청 관계자는 "1987년 새 등대가 들어서 지금은 그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아쉽지만 옛날 소리라도 채집해 들려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등대 옆에는 4D입체영화관과 선박조종체험관이 조성돼 있고, 주변을 감싸는 1만 500여 그루가 넘는 해송숲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 '몽돌이 만드는 천상의 소리' 몽돌해변
# 대왕암공원 몽돌해변
대왕암에서 우측 산책로를 따라가면 대왕암공원 몽돌해변이 펼쳐져 있다. 이 곳 대왕암 몽돌해변의 물 빠지는 소리 역시 동구의 소리 9가지 중 하나다.


 경주 대왕암은 신라 문무왕의 수중릉인 반면 울산의 대왕암은 문무왕의 왕비가 죽어 용이 되어 정착한 곳으로 전하는 바위다. 바다에 홀연히 솟은 모양새가 당당하고 웅장하다. 이대왕암 옆에 한적한 몽돌해변이 있는데 바닷물이 밀려왔다가 이들 사이를 빠져나가는 소리가 너무도 아름답다.


 가만히 들어보면 그 물소리가 곱고 은근하다. 동구의 소리에 선정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해변 뒤로는 소나무가 열 맞춰 서있어 사색을 즐기며 산책하기 좋다.


 과개안(너븐개)으로 불리는 이 해안은 1960년대까지 동해의 포경선들이 이곳으로 고래를 몰아 포획했다. 대왕암과 고동바위를 양쪽에 끼고 고즈넉이 들어앉은 해변에는 새알처럼 반질반질한 몽돌이 즐비하다. 맨발에 닿는 촉감이 독특하다. 가만히 귀 기울이면 몽돌 사이를 비집고 들고 나는 파도소리, 파도에 몽돌 구르는 소리가 천상의 소리처럼 감미롭다.

# 슬도
대왕암에서 우측으로 고개를 돌리면 무인등대를 이고 있는 작은 섬이 아련하게 다가온다. 방어진항에 붙어 있는 슬도(해발 7m)다. 방파제공사로 육지와 연결된 슬도는 섬 전체에 뚫린 구멍으로 바닷물이 드나들 때마다 거문고((瑟)를 타는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이 소리가 방어진 12경 중 하나인 '슬도명파(瑟島鳴波)'다.


 모래가 엉켜 굳은 사암 전체에 구멍이 난 모양이 벌집 같다. 구멍은 직경 2~10㎝까지 다양하다. 대략 120만개쯤 된다. 이 구멍들은 석공조개의 일종인 돌맛조개의 '작품'이다. 물속에서 구멍이 뚫렸다가 수백만년에 걸쳐 솟구쳐 올랐다. 등대에 오르면 정면으로 방어진항과 시가지, 좌측으로 울산항과 화암추등대 전경이 압권이다. 슬도 인근에서 해초를 따는 해녀 뒤로 방어진항과 고층 아파트가 어우러진 풍광이 묘한 여운을 남긴다.
 
# 이 밖의 '동구의 소리' 6가지
동구는 현재 '소리'를 관광자원화하고 있다. '동구의 소리'는 모두 아홉 개다. 동축사(東竺寺) 새벽 종소리(竺庵曉鐘·축암효종), 울기등대 무산(霧散) 소리(안개가 끼었을 때 등탑에서 보내는 소리), 슬도(瑟島)의 파도소리(瑟島鳴波·슬도명파), 조선소 망치소리, 출항하는 배의 기적소리, 대왕암공원 몽돌해변 물 흐르는 소리, 옥류천 계곡 물소리(玉流春張·옥류춘장), 마골산 숲 바람소리, 옥류천변 미루나무 숲 원두막에서 듣는 매미소리(楡亭晩蟬·유정만선) 등이다.


   
▲ '섬 전체 사암과 파도의 향연' 슬도
 마골산은 동구를 대표하는 산이다. 돌산인데 기묘한 형상의 바위들이 많다. 동구 사람들 중에는 설악산 울산바위가 마골산에서 출발했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울산바위는 조물주의 부름을 받고 울산에서 금강산으로 향하다 약속시간에 늦어 설악산에 눌러 앉았다는 전설을 품고 있다. 마골산 숲도 좋다. 상록수가 많다. 나무 사이로 바람이 흐르는 소리가 상쾌하다.


 마골산 정상부에 동축사가 있다. 신라 때 창건됐다고 전하는 사찰로 울산에서는 가장 오래된 곳이다. 규모는 단출하지만 가람들이 정갈하다. 대웅보전 앞 삼층석탑은 기품이 있다. 동축사에서는 매일 오전 4시 30분, 새벽 예불을 위한 종을 친다. 여명을 부르는 종소리는 새벽 공기만큼이나 맑고 깨끗하다. 마골산 숲 사이로 흐르는 바람소리, 동축사 새벽 종소리가 모두 동구의 소리에 꼽혔다.


 동축사 뒤쪽 관일대 바위는 예부터 일출 명소로 이름났다. 동해와 시가지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소 형상의 바위, 솥뚜껑 닮은 바위 등 재미있는 모양을 가진 바위들이 관일대 주변에 흩어져 있다.


 화정산 전망대에서는 현대미포조선 작업장을 조망할 수 있다. 망치소리가 코앞에서 들리는 듯하다. 동구 주민의 90%가 직간접적으로 조선과 연관돼 있다. 전망대에서 보는 야경이 수려하다.


 이 밖에 옥류천계곡 물소리와 옥류천변 미루나무 숲 원두막에서 듣는 매미소리(유정만선)는 우렁차다.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서 도시로 변했지만 자지러지게 울어대는 매미소리는 여전하단다.
 동구가 '소리가 있는 오감만족 여행지'로 새롭게 태어난 셈이다.


□ 등대체험활동 하려면?
울기등대 구 등탑(등록문화재 제106호)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2일부터 2012년 10월 31일까지 8개월간 울산시 동구 일산동 울기등대 일원에서 체험활동을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3월~10월까지 월 1회 총 8회에 걸쳐 '100년의 빛을 찾아서'를 주제로 한 등대체험이 펼쳐진다.


 지역 초·중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울기등대 내에서 1박 2일간 4D 입체영상체험, 선박가상 시뮬레이션, 등대 탐방 등 등대체험과 이야기가 있는 해안 둘레길 산책 등 문화체험이 진행된다.


 뿐만 아니라 오는 5월~10월에는 총 4회에 걸쳐 '백년의 빛과 천년 소리의 만남'을 주제로 한 문화어울림 한마당이 대왕암공원 일원에서 펼쳐진다.


 울산지역 청소년 및 일반인 2,000명을 대상으로 울기등대 ~ 대왕암 ~ 슬도 일원 달빛 걷기, 등대와 대왕암 탁본체험, 솟대미니어처 체험 등 체험행사 및 문화공연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동구청 유성덕 계장은 "동구의 소리 9가지 중 울기등대의 무산소리, 슬도의 파도소리, 몽돌해변의 물빠지는 소리 3가지 소리가 천년의 소리에 해당되고, 백년의 빛은 울기등대의 빛을 말한다"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동구의 소리와 빛이 문화재청에서 지정하는 2012 생생문화재사업으로 선정됐다"고 자부심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