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출산율 감소 추이를 지켜보고 있자면 현기증부터 난다고 한다. 아이 낳기를 꺼린다고 해도 이 정도일지 몰랐다는 것이 통계 담당자들의 이구동성이다. 출산율은 경제성장률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한 지역을 지탱하는 힘의 원천이다. 그런데도 울산은 성장에만 집착했지, 생명력의 근간이라 할 출산율에 너무 안이하게 대처해 왔다. 또 국내 어느 도시보다 경제활동이 왕성하다는데 따른 자만도 한 몫을 했다. 예컨대 정 안되면 타 도시에서의 유입인구로라도 인구 감소만은 막을 수 있다는 식이었다. 그 결과가 인구통계로 확연히 입증되고 있다. 외부 유입인구가 없다면 울산의 인구감소는 벌써 오래전부터 현실화될 수밖에 없었다. 지난 5년간 울산지역의 출산 추이는 2000년 1만5천734명을 정점으로 01년 1만3천506명, 02년 1만1천573명, 03년 1만1천650명, 04년 1만1천93명, 05년 1만421명으로 나타났다. 만 5년 사이 출산인구가 3분의 2 수준으로 떨어졌다. 5천명 이상이 덜 태어난다는 결론이다. 이 추세로 간다면 앞으로 10년 이후에는 출산인구가 '제로'라는 계산이 나온다. 물론 그렇게야 안 되겠지만, 현재의 감소 추세가 그 정도로 심각하다.
 울산시는 이 같은 출산기피를 어떻게든 바로잡기 위해 갖가지 묘안을 짜내고 있다. 보육시설 확충은 기본이고 아이를 많이 낳는 가정에 대해서는 파격적인 지원 정책을 밝히고 있다. 불임부부에게는 최고 3백만 원까지 지원하고, 셋째 이후 아이를 낳았을 때는 소득에 상관없이 30만원을 지급키로 하는 등 출산율을 끌어올리기에 혈안이다. 시는 이와 함께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도우미도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청도 이와는 별도로 셋째 아이를 출산하는 교사에게는 희망학교 선택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그런데도 이들 조치가 출산율을 올리는데 어떤 작용을 하고 있다는 통계는 어디서도 잡히지 않고 있다. 아이 낳기가 나라님도 어쩔 수 없다는 것인지, 아니면 가임여성들이 출산 자체에 지독한 혐오감을 갖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또 한편에선 정부와 지방정부의 출산율 증대를 위한 갖가지 정책에도 불구, 출산율이 올라가지 않는 것은 아이를 낳고 키우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 아니냐는 볼 멘 소리도 있다. 입시지옥은 말할 것도 없고, 취업난 등 이중 삼중고에 시달리면서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사회에 내 아이를 굳이 낳아 고생시킬 필요가 있겠느냐는 불확실성이 출산기피를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말이지 우리도 이러다가는 멀지 않아 한 세대가 4대의 살림을 도맡아야 할 초고령사회로 가는 것 아닌가.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