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가지산 쌀바위와 두서면 내와리 백운산 계곡에서 발원한 태화강의 길이는 48.5㎞.산업화의 와중에 한때 죽음의 강으로 불렸던 태화강의 부활이 지금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6월 울산에서 열린 국제산업생태학회에 참가한 세계의 수많은 생태학자들이 사람과 생태가 공존하고 있는 태화강을 극찬했다. 본보는 창간 7주년을 맞아 친환경생태도시 울산의 랜드마크가 된 태화강의 오늘이 있기까지 어떤 노력이 있었는지 되짚어 보고, 태화강의 미래를 그려보았다. 

# 박 시장 부임 직후 태화강 살리기 돌입
태화강 살리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울산시는 태화강으로 유입되는 모든 오염원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촌 마을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도 전부 하수처리장에서 정화하기 위해 하수관거 시설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하수처리 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이 같은 청사진이 가능한 것은 지자체장의 강력한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태화강의 부활은 박맹우 시장을 떼어놓고 설명할 수 없다. 박 시장은 지난 2002년 지방선거에 당선되자마자 "'울산의 젖줄' 태화강을 되살린 시장으로 평가받고 싶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어린 시절 추억 속 연어가 돌아오던 그 강으로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울산시는 이때부터 태화강 중류와 하류 8.8㎞ 구간의 바닥에 50~100㎝ 두께로 쌓인 쓰레기와 흙 등 150만 t을 파냈다. 

   태화강으로 유입되는 모든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하루 6만 t 처리능력을 갖춘 언양하수처리장과 방어진(하루 10만 t 처리), 굴화하수처리장(〃 4만7000t)을 갖췄다. 가정과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는 하수관거(총연장 4000㎞)를 설치해 정화 처리했다. 그 결과 태화강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2001년 5.5ppm으로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었으나 2007년 이후 2.0ppm 이하의 1급수로 맑아졌다. 태화강은 수영대회를 개최할 수 있을 만큼 깨끗해졌고, 연어와 은어·황어 떼가 다시 돌아왔다. 강변에는 태화강대공원, 삼호철새공원을 비롯 크고 작은 공원들이 들어서고, 자전거 도로와 갖가지 체육 시설들이 들어서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박 시장은 "태화강의 부활스토리는 잃어버린 자연이지만 인간의 노력에 의해 다시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면서 "특히 태화강의 부활스토리를 통해 우리 시민들이 얻게 된 자신감은 미래 생태산업도시를 건설하는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울발연, 태화강 마스터플랜 수립 시민 동참 견인
하지만 단체장이 아무리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더라도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싱크탱크'와 실행하는 실무자들이 없었다면 태화강 부활스토리는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태화강 부활의 싱크탱크를 맡은 주역은 울산발전연구원이었다. 울산발전연구원은 에코폴리스 울산 선언(2004년 6월), 태화강 마스터플랜 수립(2005년)등을 통해 태화강의 지속가능한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했다. 당시 에코폴리스 울산계획을 수립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김석택 환경안전연구실장은 "박 시장이 취임하면서 생태도시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고 그 이후 정책 연구의 중심이 환경으로 바뀌었다"며 "울산시의 적극적인 투자와 시민들의 호응으로 10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박 시장 취임 초 태화강 부활에 대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당시 울산시 하수 관리와 수질보존을 담당하던 실무과장이 현 이효재 울산도시공사 사장이다. 하수처리장 건설에서 부터 하수관거 설치, 태화강 하상 준설, 부유물 제거까지 그의 손을 거치지 않은 것이 없었다. 특히 이 사장은 당시 울산환경보존회의 심상국씨 부부와 함께 명촌교 근처의 수중 쓰레기 제거 작업에도 적극 참여했다.

 이 사장은 "시민단체회원과 공무원이 함께 물속에 잠겨있던 수십 년 된 통발과 오염물질을 일일이 손으로 끄집어냈다"며 박 시장이 직접 그물설치를 위해 박아 놓은 쇠말뚝을 뽑은 이후 부시장을 비롯해 간부공무원, 환경시민단체, 기업 등에서 차례로 참가한 일을 회상했다.

# 시민들의 적극 참여로 탄생한 태화강 대공원
오늘의 태화강이 있기까지 시민들의 참여도 적극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태화강 대숲과 태화들을 지켜낸 시민들의 힘은 태화강 부활 스토리를 더욱 돋보이도록 했다.  총면적 53만여㎡의 전국최대 도심 수변생태공원으로 조성된 태화강 대공원은 자칫 치수와 개발논리 때문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할 뻔 했다. 태화강 명물인 대숲(십리대숲)이 정부 치수정책으로 사라질 뻔했고, 태화들은 개발논리에 밀려 택지로 변할 위기를 겪기도 했다.

 십리대숲은 정부가 1987년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치수를 위해 하천구역 내 1m 이상모든 수목을 제거키로 하면서 사라질 위기를 맞았다. 대숲이 물길을 막아 홍수 시 인근 태화동 등으로 범람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벌목위기에 놓인 십리대숲을 지킨 것은 태화강보존회(회장 김진수)였다. 김 회장을 비롯 당시 실무역을 맡았던 이수식 울산대 교수(현 고문. 푸른울산21환경위원회 회장)등이 서명운동·대정부 건의 등 끈질기게 노력한 결과 정부가 울산의 환경·역사·정서적 특수성을 인정해 태화강변 대나무를 없애지 않기로 했다. 

    이 고문은 "당시 반대논리를 위해 태화강대숲이 홍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미국에서 경험한 이론을 적용한 결과 불과 15~20㎝가량의 수위가 오를 뿐이었다"면서 "이는 하천 여유고인 1.2m를 적용할 경우 큰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학술적으로 규명하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