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구대 암각화 탁본.

울산은 어떻게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고 어떤 문화를 만들어왔을까.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한 울산은 예로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터전이 되어 우리의 선인들이 아득한 석기시대부터 육로 또는 해로로 이곳에 들어와 정착사회를 이루어 살았던 곳이다. 서생면 신암리, 병영동 병영성지, 장현동 황방산의 신석기 유적이 있고 석검이 출토된 화봉동과 지석묘가 있는 언양면 서부리의 청동기 유적이 있다. 이 밖에 북구 중산동, 온산면 산암리, 언양읍 동부리, 삼동면 둔기리, 온양면 삼광리, 상북면 덕현리, 동구 일산동, 중구 다운동, 삼남면 방기리 등지에서 각종 유적과 유물이 관계 연구기관과 대학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무엇보다도 울산의 초기 문화를 규명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반구대암각화다. 사연댐 상류에 위치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암각화에는 고래·거북·사슴·멧돼지 등의 각종 동물 그림이 있고, 두동면 천전리의 각석에는 원·삼각형·마름모 등의 각종 기하학적 무늬들이 있어 울산지방이 고대 인간사회의 유력한 생활터전이었음을 증명함과 동시에 당시 사람들의 의식세계를 보여 준다.

한반도 고대사 시원 각종 사료 구체·체계화 필요
유적·유물뿐 아니라 역사인물 재조명사업도 추진
산업도시 이전의 발자취되짚어 문화정체성 확립

# 가야·신라문화권과 또 다른 울산만의 특징 있어
울산은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소속으로 중구 다운동을 중심으로 굴아벌촌이라는 읍락을 형성했는데, 신라가 파사왕 때 이곳을 취해 굴아화현을 두고, 남쪽에는 생서랑군, 동쪽에는 동진현, 언양 지방에는 거지화현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 하곡현(일명 하서현)으로 이름을 고치고 월성군 외동읍 모화 지방에 있던 임관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언양 지방은 본래 거지화현인데, 경덕왕 때 헌양현으로 개칭해 양주의 영현으로 하였다. 신라 시대에 울산지방은 일찍부터 불교문화가 미쳐 태화사 등의 불사가 성행하였다. ≪삼국사기≫ 열전에 나오는 우시산국도 울산지방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지금의 울주군 웅촌면이 그 위치일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이런 울산의 초기 모습이 신라문화나 가야문화와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데 있다. 최근 울산에서는 학계를 중심으로 '울산문화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는 울산만이 가지고 있는 울산문화의 정체성을 찾아 '울산문화권'을 정립하고 시민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자는 뜻이다. 21세기가 문화의 세기다. 국가 경제의 발전에 선두역할을 해온 울산은 경제적 성공신화를 창출하고도 그 이면에 많은 것을 잃었다. 울산이 앞으로 국제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산업과 경제에만 매달리지 말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토대 위에 문화와 예술을 창조해 세계에 당당히 나설 수 있는 대도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웃의 신라문화권이나 가야문화권처럼 울산문화권 정립이 시급하다. 그런 의미에서 울산의 문화는 울산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학습과 이를 구체화하는 관련 자료들의 축적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얼마 전 남구에서 지명사를 새로 만드는 작업을 마쳤는데 이 또한 울산의 문화를 풍부하게 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 볼 수 있다. 울산은 신석기 이전부터 문화를 일궈온 도시다. 울산문화권의 종합적인 정립을 위해서는 울산 구석기 시대 존재 여부를 찾기 위한 세심한 발굴과 조사연구, 신석기시대 문화의 종합적 연구와 정리, 반구대 암각화와 천전리 각석의 종합적 해석과 '반구대인 문화'의 정립, 울산청동기시대 문화의 종합적 연구, 삼한시대의 울산 연구 등이 필요하다.

 이는 바로 울산시민들이 울산에 대한 자부심을 높일 수 있도록 과거를 인식하고 앞으로의 문화 발전에 밑거름이 되는 방안을 모색하는 길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울산이 현대화 이후의 모습으로 주목받은 만큼 이제 울산 문화는 현대화 이전의 울산, 즉 역사성을 더듬어 그 본래의 모습을 찾아가는 작업을 출발점으로 삼아 하나씩 체계화 할 필요가 있다.

# 산업도시 명성 아래 유구한 역사의 흔적 묻혀
올해는 울산이 이름을 부여받은 지 600년이 된 뜻깊은 한해였다. '굴뚝 도시' '산업도시'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울산이 600년의 지명사를 가졌다니 놀라는 이들도 있겠지만 '울산 600년'은 아무것도 아니다. 울주는 이미 1,000년의 지명사를 가진 곳이고 이를 포함하는 울산은 한반도 고대사의 출발점이다. 일반적으로 울산을 두고 굴뚝 산업의 본거지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울산에 오면 굴뚝의 역사가 즐비하리라는 상상을 하는 이들도 있다. 그런 이들에게 울산이 한반도 인류의 시원이 깃든 땅이라는 이야기는 낯설다.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한 울산은 예로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터전이 되어 우리의 선인들이 아득한 원시시대부터 육로나 해로를 따라 들어와 정착사회를 이루어 살았던 곳이다. 거짓말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는 울산박물관에 가면 확인할 수 있다. 서생면 신암리 유적이나, 장현동 황방산의 신석기 유적이 있고 석검이 출토된 화봉동과 지석묘가 있는 언양면 서부리의 청동기 유적이 있다. 어디 그뿐인가. 한반도 선사문화 일번지인 대곡천 일대의 암각화는 울산이 고대 한반도 정착민의 영험한 영역이었음을 그대로 보여준다.

 울산은 천혜의 땅이다. 그 천혜의 땅에서 일궈낸 문화의 힘이 고대국가와 신라, 고려와 조선을 지나 오늘에 연결돼 있다. 그 오랜 역사의 끝자락이 산업수도 울산이지만 오래된 과거는 울산을 그렇게 설명하지 않는다. 바로 그 뿌리의 학습장, 울산에 대한 역사성이 지명사로 나타난다. '울산 정명 600년'이 바로 그것이다. 울산의 오랜 역사와 울산만이 가진 문화적 독창성은 가히 독보적이라 할 만큼 놀라운 것이지만 이를 연구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은 걸음마 수준이다.

천전리 각석의 문양.
 이제 울산은 600년의 이름 이상의 역사성을 가진 도시로 재조명되어야 한다. 울산 지명의 연원은 삼국사기 열전 거도조 등에 등장하는 '우시산국'(宇尸山國)이란 지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시산국의 시(尸)는 이두에서 'ㄹ'로 많이 표기되는데 우시산의 '우'와 '시'를 합치면 '울'이 된다. 울산은 울뫼나라, 즉 울산국이었던 것이다.

 이 우시산국은 삼한시대에 존재했고 비슷한 시기에 형성된 울주군 웅촌면 대대리 하대유적이 그 실체로 추정된다. 이후 울산은 삼국시대 때 굴아화(屈阿火)현에서, 고려 때 흥려부(=흥례부)로 승격했다가 다시 공화(恭化)현으로 강등되는 등 다양한 이름을 거친다. 특히 고려 초 울산은 박윤웅이 후삼국 통합에 공을 세웠다는 이유로 기존 하곡현, 우풍현, 동진현 등이 따로 존재하던 것에서 흥려부, 즉 고려를 흥하게 한 지역으로 합해지며 격상했다.

 당시 고려 성종이 방문해 태화루에서 연회를 베풀었을 정도로 울산은 위상이 높았을 뿐 아니라 이 시기는 현재 울산의 모습을 갖춘 때이기도 하다. 당시 언양은 지금과 달리 따로 존속한 고을이었는데 언양 역시 이전 헌양이라 불리던 것에서 언양으로 바뀌었다. 이후 울산이란 이름을 처음 갖게 된 게 바로 조선 태종 13년(1413)의 일이다.

# 지명사·역사인물 재조명 등 지역 곳곳서 역사 바로알기 물결
울산은 근대 50년의 역사로 세상에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신라 100년의 모항으로 국제교류의 통로가 됐던 곳이다. 울산의 모태라 할 수 있는 '울주'는 이미 이름이 부여된 지 1,000년을 눈앞에 두고 있는 지역이고 울산 역시 우시산국으로 시작한 역사성이 정명 600년을 맞은 역사와 전통의 뿌리를 가진 도시다. 무엇보다 울산은 한반도 문화의 서막을 알리는 반구대암각화부터 신라 문화와 또 다른 차별성을 가진 울산문화권의 오래된 역사는 물론, 가히 역사 문화의 도시로서 그 위상이 바뀌는 추세다.

 바로 이 같은 시점에 울산시 차원의 역사성 재조명과 다른 차원에서 울주군과 울주문화원은 의미 있는 작업을 시작했다. '울주 1,000년, 인물을 만나다'라는 프로젝트로 울주의 역사 문화에 발자취를 남긴 인물을 재조명하는 작업이 그것이다. 울주의 인물을 재조명하는 사업과 함께 시작해야 할 일이 바로 울산 전체를 아우르는 역사인물에 대한 재조명사업이다.

 울산에 박물관이 문을 열었을 때 대한민국의 많은 이들이 굴뚝 도시 울산에 박물관이 들어섰으니 굴뚝의 역사가 즐비하리라는 상상을 했다. 그런 이들에게는 울산은 여전히 굴뚝이 즐비하고 돈이 넘치는 '부자 도시'라는 이미지로 울산은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울산박물관에서 울산의 역사를 둘러본 뒤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울산은 한반도 인류의 시원이 깃든 땅이다. 한반도의 동남 쪽에 위치한 울산은 예로부터 사람이 살기 좋은 터전이 되어 우리의 선인들이 아득한 원시시대부터 육로나 해로를 따라 들어와 정착사회를 이뤄 살았던 곳이다. 거짓말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는 울산박물관에 가면 확인할 수 있다.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유적이나, 장현동 황방산의 신석기 유적이 있고 석검이 출토된 화봉동과 지석묘가 있는 언양면 서부리의 청동기 유적이 있다. 한반도 선사문화 일번지인 대곡천 일대의 암각화는 울산이 고대 한반도 정착민의 영험한 영역이었음을 그대로 보여준다. 울산은 천혜의 땅이다. 그 천혜의 땅에서 일궈낸 문화의 힘이 고대국가와 신라, 고려와 조선을 지나 오늘에 연결돼 있다. 그 땅에서 수많은 인물이 나왔다.

 오늘의 울산을 만든 박윤웅 장군부터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선생까지 천혜의 땅 울산은 물산만이 아니라 인물로도 대한민국 어느 지역에 비할 바가 없을 만큼 출중한 발자취를 남겼다. 울산시 차원에서 이들 역사 인물에 대한 재조명 사업과 이를 후대에 알리는 사업이 시작되어야 한다.  김진영 편집국장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