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화앵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여 알려진 동도(東都) 즉 경주(新羅)의 기(妓)이며 열박령은 그의 무덤이 있는 울주군 두서면 활천리로 기록됨으로써 알려진 인물이다. 역사학자들은 천하의 명기(名妓)황진이가 송도(松都)에 있다면 동도(東都)에는 전화앵이 있었다고 말한다. 그만큼 전화앵의 인물됨을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흔히 기생을 두고는 천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생도 기생 나름이다. 황진이와 논개를 일반기생의 반열에 놓고 평가할 수 는 없다. 황진이는 조선의 이름난 시인이었을 뿐만아니라 서(書)와 노래에 뛰어났으며 출중한 용모가 받쳐줌으로써 역사를 통틀어 그를 능가할 기녀는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런 황진이는 스스로 서경덕과 박연폭포 그리고 자신이 송도의 3절이라고 불렀으니 그 당당한 기품이 여성에게서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높게 이름을 떨쳤다. 왕손(王孫)이 찾아와 구애로 매달렸으나 유유히
 청산리 벽계수야 /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 다시 오기 어려워라
 -후략-
 하고 여유있게 시조 한수를 읊었다.
그러나 기생으로 알려진 전화앵은 이런 황진이와 같이 놓지 못할 일면이 있음을 알아야한다.
 그는 이름처럼 꽃 같은 아름다움과 꾀꼬리 같이 맑은 소리로 숱한 학자들의 심금을 파고들어 매혹케한 예기(藝妓)였다. 뿐만아니라 천년사직이 무너진 때에 절개를 지킨 절기(節妓)로 많은 선비들의 추앙을 받은 예술인이였다. 그러기에 황진이를 능가하는 여인으로 평가하는데 나는 주저하지 않는다.
 울산을 찾아 태화루 시를 남긴 김극기는 천하가 아는 고고한 선비였다.
 그는 본관이 경주로 진사가 된 후에 벼슬길에 나아갈 생각을 접고 초야에 묻혀 시를 쓰고 있었다. 명종 임금의 부름을 받고 의주(義州)방어 판관이 되고 직한림원을 거쳐 예부원화랑 일 때 금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귀국한 이후에도 벼슬을 던져버리고 전원생활로 지내면서 또 시작에 몰두하다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선비 가운데도 올곧은 선비의 길을 걸었던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椿)과의 교우 이외에는 선비들과의 교우를 하지 않았다. 그런 김극기는 고려의 선비였지만 그 시대에 흔히 볼 수 있는 문관(文官)들이 즐기던 기녀와의 사귐을 일체 끊고 지내면서 멀리 이웃나라 신라에서 풍문으로 들려오는 전화앵을 흠모했던 모양이다. 김극기는 신라의 천년사직이 무너지던 날 경애왕이 견훤의 장수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자결하고 왕비가 견훤과 동침을 하면서 태자가 개골산으로 떠나버리며 도성(都城)안의 여성들이 거의 견훤의 병사들에게 농락을 당해야 했던 그 비극의 날에 끝내 절개를 지키며 나라의 망함을 울분으로 삼키며 지내다가 고향 울주군을 찾아와 은둔생활을 하며 숨져간 전화앵의 절개를 모를리 없었다. 그는 전화앵을 만나려고 전화앵의 고향을 찾아왔으나 이미 전화앵은 땅에 묻혀버린 뒤였다. 무덤을 찾아가 김극기는 피눈물을 흘리며 한 여인으로 신라의 예인(藝人)이었던 전화앵을 그리워하며 한편의 시를 남겼다.
 아름다운 용모의 혼을 재촉해 저세상으로 가니 / 헛되이 하늘가의 바위벽만 바라볼 뿐이다. / 신녀가 비를 모아 무협에 뿌리는데 / 아름다운이여, 그 바람은 낙천에 끊겼다. / 운학무(雲學舞)를 추던 소매는 땅에 끌리었고 / 월투가를 부르며 흔들던 부채는 하늘에 닿았는데 / 지나는 길손이 그 아름다움에 가슴이 상하여 /붉은 눈물에 손수건이 촉촉히 젖는다.
 이 시에 나오는 운학무(雲學舞)는 운학무(雲鶴舞)가 맞을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김극기가 피눈물을 흘릴정도의 전화앵을 상상하고도 남을 일이다. 그러나 그 보다는 울산 최초의 예술인이라는데 나는 더 호감이 간다. 뿐만 아니라 멀리는 박제상에서부터 박상진에 이르기까지 이 고장의 역사와 전통의 자양분은 충절이기에 그 중의 여자로써 전화앵이 있었다는 것이 한없이 자랑스럽다.
 이 전화앵이 울주문화원 변양섭 원장과 울산학춤을 연구 개발한 김성수 스님에 의해 갈고 닦아지고 있다.
 지난 13일 울주군 두서의 전화앵묘에서 작년에 이어 전화앵제를 열었다.
 왜장(倭將)을 껴안고 남강에 떨어진 논개의 의를 우리가 기리듯이 대장부가 아닌 예술을 사랑한 절개의 여인으로 일생을 마친 전화앵도 이 고장을 충절의 고장으로 굳히는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 믿는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