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광역시 공무원들은 가끔 자신들의 처지를 '못된 시누이'에 빗대 억울함을 호소한다. 시부모나 친지들에게는 더 없이 잘하고 후한 점수를 받고 있어도 유독 시누이만은 좋게 보지 않는데 따른 속앓이라 할 수 있다. 통상 시누이는 시집을 가나 안가나 친정 올케를 색안경으로 본다. 아무리 잘해도 일단은 의심을 하고 경계를 하는 것이 몸에 배어 있다고 사회학자들은 지적한다. 울산시 공무원들은 여론을 이 같은 '시누이'로 보고 있다. 그럴 만도 한 이유는 충분하다.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울산광역시만큼 공무원 숫자가 적은 곳도 없다. 그러면서도 업무는 공해도시에서 생태환경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시정목표에 맞추기 위해 폭주하고 있다. 특히 울산의 젖줄이라 할 태화강 살리기에는 시장을 비롯한 말단 공무원에 이르기까지 더욱 열정적이다. 또 울산시 공무원들의 청렴도는 이미 정평이 나 있다. 연간 직무와 관련, 사법처리 받는 공무원이 예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낮아졌다. 이런데도 울산시 공무원들에 대한 여론의 평가는 아직 쌀쌀하기만 하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해 전국의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인사와 예산관련 청렴도를 측정한 결과 1위로 평가됐다. 또 제도구축 등 청렴역량지수에서는 3위를 차지하는 등 모범적인 공무원상을 정립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울산시다.
 그러나 시민이 체감하는 공무원들의 청렴도 조사에서는 울산시가 9위로 밀려났다. 국민권익위원회 등 외부기관이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평가한 청렴도와 달리 울산시민은 울산공무원들을 여전히 불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언론의 탓도 없지 않다. 공무원 관련 사건은 아무리 경미한 사건이라도 침소봉대(針小棒大)하는 것이 관행화 되어 있다. 즉 "공무원이 그래서 되겠는가"라는 일반인들의 법의식이 언론에 그대로 투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과거, 한참 지난 사건에 대한 기억이 현재의 공무원들에게 덧 씌워져 있는 점도 공무원 사회를 바로 보지 못하는 측면의 하나다. 시는 이에 따라 공무원들이 어떻게 달라졌고, 청렴을 생활화하지 않고는 단 하루도 직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직접 알리는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공무원의 부패 행위를 신고하면 최고 1천만 원을 포상합니다"는 강수까지 꺼내들었다. 한편 이 모든 것은 자신감의 반영기도 하다. 이제는 이런 포상 조례를 제정해도 얼마든지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겠는가. 시가 마련한 조례안에 따르면 누구든지 시 소속 공무원의 부패행위를 신고하면 내용과 효과에 따라 최고 1천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