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예술계 수장을 뽑는 울산예총 선거판이 또다시 시끄럽다. 정치판도 아니고 그 어떤 영역보다 위상과 품위를 갖춰야 할 문화예술인의 선거가 왜 매번 이렇게 시끄럽게 치뤄지는 것일까. 지난 것은 제쳐두고 이번 선거판이 돌아가는 것만 봐도 납득이 안 가는 점이 한 두개가 아니다.

 여러 차례 지적했지만 우선 울산예총은 아직도 1970년 예총 설립 당시 규정대로 선거를 치르고 있다. 대의원 45명의 간접투표로 치뤄지는 예총 선거, 그것도 대의원단을 따로 뽑는 선거가 없어 전체 회원의 의견이 반영되기 힘든 구조다. 실제 대의원도 연극협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집행부가 맡아 결국 몇몇 지회장단 뜻대로 선거판도가 흘러갈 수 있다.

    이번 선거에서 두 후보자가 선거제도 개정을 공약으로 내세운 이유도 예총 선거제도의 근본적 결함을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도 왜 울산예총은 이를 바꾸기 위한 시도도 하지 않는 것일까. 예총 집행부는 그동안 선거제도 개정을 위한 이사회 안건상정 등 어떤 조치도 취한 적이 없다. 특히 최근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급단체인 한국예총 선거 관련 정관 개정안을 부결시킨 것은 고의성 의혹에 도덕적 해이라는 따가운 지적마저 받고 있다.

 도대체 예총은 왜 이렇게까지 옛 것을 고수할까. 일각에서 제기되는 '예피아'론이 그 해답일지 모른다. 예피아 범주에는 여러 경우가 있겠으나 선거와 관련해서는 몇몇 지회장단이 여기에 거론되고 있다. 제도상 허점으로 5개 이상 지회장단과 산하 대의원단이 합심하면 한 후보를 당선시킬 수 있다는 얘기인데, 그들 뜻대로 선거를 쥐락펴락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인사는 이미 짜놓고 치는 판에서는 구경꾼들 얘기는 아무 의미없다는 얘기까지 했다.

 그러나 구경꾼들의 얘기는 비록 판을 바꿀 수는 없어도 그 판을 오랫동안 살아남게 하느냐 아니냐에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 전직 울산예총 수장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 또한 울산예술의 한 물결이고 역사라는 얘기를 했다. 그렇다면 이 역사는 적어도 자랑스러운 역사가 되지 않을 것은 분명하다. 물론 정확한 것은 오는 5일 치뤄지는 선거결과로 판가름 난다. 부디 울산의 최대 예술단체인 울산예총의 한 역사가 그렇게 흘러가고 기록되는 안타까운 일은 생기지 않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