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떤 제도든 '교황식'이라는 수식어가 붙으면 대체로 좋다고 보기 힘들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자기들끼리 모여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교황식이란 단어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


 최근 제18대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선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현행 '교황식 선출 방식'을 두고 지역상공계 인사가 한 지적이다. 현행 울산상의 회장 선거는 일반·특별의원 108명을 대상으로 간선제로 진행된다. 일종의 교황식 선거방식으로 공식 후보추천이나 입후보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공의원들이 회장으로 써내는 사람 중에서 과반수 득표자를 회장으로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방식에 따라 후보자들은 출마여부에 대한 한마디 입장표명을 거치지도 않고도 회장에 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행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상의 회장 선출 방식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돼온 '교황식 선출방식'을 개선해 후보 등록과 정견발표에 의한 선거방식으로 변경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상의는 단순 친목모임이나 이익단체만의 성격을 넘어선다. 정부와 기업 간의 긴밀한 협의 채널로서 주요 경제·산업 정책을 조율하고, 때로는 회원기업의 애로 해결에 나서는 등 경제를 움직이는 주요 힘으로 작용해왔다.


 때문에 회장이 되면 대기업은 물론 대통령을 비롯한 각계 고위층 인사와 만나 경제 현안을 논의하고,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매출 수백억원에서 1,000억원대 안팎의 울산지역 중소기업 대표에서 지역 경제부시장으로서 예우를 받는 경제단체장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상의 회장 출마를 저울질하는 유력 상공인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실제 울산을 비롯해 올해 회장 선거를 앞둔 부산상의와 전주상의, 광주상의 등 대부분의 상의 회장 선거가 경선으로 진행되는 분위기다. 앞으로 이 같은 경우가 잦아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상의 회장 후보 등록에서부터 정책 및 공약 발표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후보검증은 고사하고 밀실 타협과 거래의 위험성을 키울 수 있는 '교황식 선출'이 울산경제 시장을 뽑는 유일한 방법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광주상공회의소는 교황식 선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자 2009년 부터 상의 회장 선출에 앞서 후보자 등록과 함께 공개적 검증 절차를 밟고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