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사민정협의회'가 난제 투성이다.
 울산이 노동운동의 본산이니, 그만큼 역할이나 기대도 컸다.
 그래서 시장과 남구청장 등 단체장들의 핵심공약으로도 내걸렸다.
 지차제는 벌써 지친 기세다.
 민주노총이 불참을 선언했을 때부터 이미 김이 샜다.
 '보수단체장의 정책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며 민노총이 내민 명분은 말문을 막아버렸다.


 울산시는 한국노총만 참여시키는 방향으로 협의회를 구성했지만 영 찜찜하다. '반쪽짜리 협의회'의 유전자가 갖는 한계가 뻔히 내다보이는 탓이다.
 남구청은 더하다. 간담회 불발을 겪고나니 앞으로 협의 주체들의 둔한 움직임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노심초사다.
 진보청장에서 보수청장으로 바뀐 동구는 민노총의 하차 선언으로 진땀을 뺐고, 북구는 미묘한 신경전에 들어갔다.
 중구와 울주군은 일단 지켜보자는 '눈치 전법'을 구사하고 있다.
 관내 노조 현황을 파악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울산시와 각 구·군에는 울산에만 사업장을 둔 기업별 노조만 등록되고 있다. 금속노조처럼 산별노조에 가입하고 전국적으로 연맹을 형성하고 있는 노조는 파악이 되지 않는 셈이다.
 그런데 충돌과 분규는 상당수 전국단위 노조에서 발생한다. 거꾸로 말해 '알맹이 없는 협의회'에 그칠 공산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노사민정협의회는 노사와 관련된 전반적인 고용과 실업, 경제 활성화 등 광범위한 범주를 다루는 사회적 의결기구다.
 이는 결국 '정'이 깔아준 멍석위에서 '노사민'이 고민하고 풀어나가야할 의제들이다.
 의제를 노사관계로 축약하거나 이면의 법과 제도상 한계를 다루는 것은 나중 일이다.
 베이비부머도 좋고, 청년실업도 좋다. 노사민이 주체의식을 가지고 각종 사회 현안에 대한 '소통로'부터 열어야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