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뿐 아니라 현대 한국인이 소홀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기록'이다.
 멀게는 임진왜란부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을 거치며 나라가 초토화 된 이후, 먹고 사는 문제가 급해 스스로의 행적을 기록하고 과거를 반추하는 여력은 부족할 수 밖에 없었다. 한국 산업화의 축약본으로 평가받는 울산의 기록에 대한 관심은 더 적었다. 울산박물관 명예의 전당에 올라있는 인물들도 마찬가지다. 시민대상 조례가 제정된 2002년 이후 수상자만 등재됐다보니, 지역사회에 공헌을 했음에도 그 이전에 제정된 상의 수상자란 이유로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제외된 상에는 울산시문화상, 과학기술인상, 중소기업인상, 환경대상 등이 포함돼 있다. 이 상들은 주로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한 1997년을 전후 만들어졌는데, 통합전까지 수상자는 150여 명에 달한다. 그 중엔 울산이 기억하고 후대에 자랑할 만한 인물들이 많다. 예로 과학기술인상을 받은 당시 울산테크노파크 정밀화학사업단 태원필 연구개발실장의 경우 영국 IBC 발행 세계인명사전 100인의 과학자에도 올랐던 인물이다. 국내외 나노분말 연구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울산대 첨단소재공학부 권영순 교수도 있다.

 인물평가를 떠나, 이 상들은 과거 울산을 보여주는 한 지표다. 노사분규가 심각했던 시절, 노사화합은 울산의 중대한 과제였다. 이에 시는 산업(평화)대상을 제정해 많은 이들에게 상을 줬다. 울산의 발자취가 상에 깃들어 있는 것이다. 당시 기준에서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뽑은 것인데, 지금처럼 최고 권위를 가진 게 2002년 이후 시민대상이라고만 한다면, 이전에 제대로 된 기준도 없이 수상한 것을 자인하는 셈이 된다. 또 지금대로라면 몇 십년이 지난 이후 울산시가 또다른 상을 제정할 경우, 그 이전 상이 될 현 시민대상도 그 반열에서 사라질 수 있다. 가뜩이나 인물이 적은 울산에서 지역사회에 공헌한 인물을 기리는 조그만 명패 하나를 부착하는 일은, 많은 시민에게 지역의 기억을 공유하게 하는 한편 추억과 이야깃거리를 남겨준다. 그런 노력이 쌓일 때 울산에 그처럼 부족한 역사와 전통이란 것이 생겨날 수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