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시 무형문화재에 대한 지원확대를 구상중이란 반가운 소식이다. 결과는 내년 당초예산 편성이 확정되는 올해 말 판가름 나겠지만, 이런 시도 자체가 의미있어 보인다. 그동안 울산은 무형문화재 지원책이 타도시에 비해 부족하단 지적이 잇따랐다.

기자가 관련 기획물을 보도한 3년전 이 맘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다행히 시가 발전방안을 추진중이고, 최근 이성룡 시의원이 지원책 강화를 주문하는 등 여론은 나아진 형편이다. 울산의 무형문화재 현황은 얼마나 열악할까. 현재 전국 광역시·도의 평균 무형문화재 수는 32개다.

반면 울산은 고작 5개를 보유했다. 그나마 이것도 지난달 전각장이 지정돼 늘어난 숫자다. 이외에 장도장은 전수조교 임동훈씨가 명맥만 잇고 있고, 일산동당제 별신굿과 모필장, 옹기장 등이 대부분 일흔과 여든 노장의 손에 맡겨져 있다.

지난해엔 8명의 옹기장 중 최상일 씨가 노령과 병환으로 사망했다. 게다가 대부분 후계자 전승이 제대로 안 돼 보유자 사후 전통이 단절될 우려도 있다. 그럼에도 울산의 전승 지원금 등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다행히 현재 이를 높이고, 공개행사 지원과 전수장학생 지원금 마련이 검토단계에 있다. 하지만 여전히 시 차원 전수(교육)관 설치는 검토되지 않고 있다. 장인들은 전승지원금도 좋지만, 전수관을 마련해 투명하고 공개적인 지원을 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전승을 수월하게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전수과정이 공개되고 이를 관광객이 체험할 수 있게 관광자원화하면 그 가치가 커지고 보유자들이 세금을 더 책임감 있게 쓸 수 있단 장점도 있다.

한 옹기장은 "전수관을 운영하면 책임감 있게 전수작업에 임할 수 있고 관광자원화에도 도움될 것으로 기대돼 자체적으로 이를 준비하는 상황이지만, 민간에서 하기엔 애로사항이 많다"고 말했다. 기

왕 지원확대를 구상중이라면, 효과를 가시적으로 낼 수 있는 보다 과감한 지원도 검토해봐야 할 대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