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취재원이 말하는 기자는 '피곤한 존재'다. 업무만으로도 바쁜데 꼬치꼬치 묻는다. 원하지 않는 기사를 가차 없이 지면에 옮겨버린다. 더러 치부까지 들춰내는 기자는 '악당'이다. 이런 취재원을 대할 때 기자는 '속상'하다. 기자의 사명은 120만 시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갖가지 정보를 제공한다. 사회 성원들이 자신의 환경을 누리고 감시하는 한편, 위험에도 대처해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생존을 영위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와함께 정보를 해석하고 평가해 여론을 형성하는 '사회적 조정자'가 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한다'는 숙명에 충실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많은 취재원들은 이러한 매커니즘을 이해하려하지 않는다.  심기불편한 기사를 무조건 '도발'로 해석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최근 울산시청 공보시스템을 둘러싸고 제기됐던 '언론 통제' 논란도 같은 맥락에서 비롯됐다. 기자는 대중으로부터 '비판'과 '감시' 기능을 위임받았다. 그런데도 직원들은 언론이 늘 '비호'해주기 만을 바란다. '잘해야 본전'인 공무원들 입장에서 볼 때 언론의 입장까지 헤아리기에는 '내 코가 석자'일 수도 있다. 기자들이 개별 사안을 기사화하는 단계에서 단어 하나에도 신중을 기하는 것은 이같은 내부사정을 모르지 않아서다. 그런데도 단지 7층 어른의 질타를 받았다는 이유로, 언론을 불손한 세력인 마냥 호도해버리는 관행은 분명 짚고 넘어가야할 문제다. 취재에 부정적이거나 자료를 차단하는데 주력하는 직원들 사이에는 이처럼 자신의 안위를 먼저 생각하는 부류가 분명 존재한다. 물론 보도가 팩트와 어긋났다면 적극적인 해명을 요구해야한다. 오류를 포함한 정보가 2차, 3차 전파되는 것을 내버려두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그러나 오로지 수장이 보내올 피드백의 형태에만 골몰하는 이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나중 문제다. 수장이 백날 '열린 행정'을 외쳐봤자 이처럼 직원 한명, 한명이 신념을 잃어버린다면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 크게보면 120만 시민의 알권리를 뒷 전으로 밀어내고, 여론수렴 창구인 언론과 충돌 수위만 높이는 자충수의 화근이 되기도 한다. 이래 저래 답은 하나다. '소통'해야 정확한 정보를 알리고, 행정이나 정책이 안고 있는 피치 못할 '속사정'까지 전달할 수 있다. 결국120만을 대신하는 언론과의 충분한 '스킨십'만이 건강한 피드백의 원천이라는 진리를 외면하지 않아야 할 일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