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이 마지막 산고(産苦)를 겪고 있다.

 예타에서 가장 까다롭다는 '경제성 분석'이다. 산박의 설립이 가져다줄 편익과 비용을 미리 추정해보는 절차다. 들어갈 예산에 비해 누릴 수 있는 편익이 얼마나 되느냐를 견주는 것이다. 미리부터 경제성을 계량화해서 괜한 예산 낭비를 막자는 취지다. 경제성 계량화는 사업의 용도를 막론하고 쉽게 도출하기 어려운 과제다.

 요는 얼마를 들여서 지어야 뒤탈이 없겠느냐다. 그래서 설문조사가 대동된다. KDI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이달 한달 동안 표본 조사를 벌이고 있다. 비용을 댈 국민들에게 직접 물어 결정하겠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산박의 규모를 좌우하고 아예 사업을 장기화할 수도 있다. 질문의 핵심은 국립산박을 울산에 짓기 위해 얼마나 세금을 더 낼 수 있느냐다. 분명 유리한 국면은 아니다.

 남부지방 어디쯤 붙은 울산에 생소한 기관이 들어선다는 명제부터 타지역민들에게는 친근하지 않다.

 게다가 수천억원이 들수도 있다는 부연은 더더욱 수긍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일부에게 여전히 울산은 울진군과도 구분하기 어려운 변방이다. 그들은 수출 1천억불 대한민국의 성장을 울산이 견인했다는 사실을 알리 없다. 대한민국의 성장 뒤에는 공업센터로 지정되고 국가산단에 터전을 내어주었던 그들이 모르는 울산의 희생이 있었다. 공해도시로 외면받는 세월 동안 울산은 거친 심장박동을 멈추지 않았고 산업기술의 독보적인 진화를 이끌어냈다. 울산은 인고의 시간과 뛰어난 보존가치가 응집된 산업기술의 요람이다.

 국립산박이 울산에 둥지를 트느냐 마느냐에는, 과거를 통해 미래를 반추해야할 앞으로 반세기의 운명이 달려있다.

 조사에는 전국 1,000명이 표본으로 선정됐고, 울산시민 400명도 포함됐다. 단순 계산으로 볼 때 울산여론이 절반에 육박하지만 속사정은 좀 다르다. 울산인구 120만은 총 인구 5천만 중 0.4%에 불과하다.

 때문에 결과치도 0.4%로 환산돼 반영되니 안심할 수치는 분명 아니다. 400만 산파들의 힘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