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 노조가 기어이 정치파업을 감행했다. 진행되고 있는 임단협과는 무관한 불법파업이다. 이번 파업으로 현대차는 차량 2,200여 대를 생산하지 못해 450여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지난 달 당선된 박유기 신임 지부장은 2006년 위원장 시절에도 불법 정치파업을 10여 차례 벌이며 회사에 차량 2만 1,200여 대, 2,900여억 원의 손실을 입힌 전력이 있다. 이 때를 기점으로 현대차 노조원들은 정치파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노조원들은 2008년 미국 쇠고기 재협상 파업과 2010년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 금지 반대 파업, 2014년 민주노총 총파업, 2015년 4월 민주노총 총파업 등 정치파업 찬반투표를 4번 연속 부결시켰다. 실익 없는 정치파업에 대한 노조원의 반대 정서가 뚜렷하다는 증거다.

 현대차 노조가 이런 현장정서와 아직 마무리하지 못한 임단협, 경제상황 등을 감안해 현명한 결정을 하리라 기대했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지부장 후보 공약으로 연내 타결을 약속했고, 교섭재개 상견례 자리에서도 이를 재확인했지만 이후에 보여준 행동은 연내 타결 의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진정성을 의심받기에 충분했다. 시대가 바뀌어도 80년대에 고착된 사고방식으로 강경 불법시위를 일삼는 민주노총이나 10년이 지난 지금도 변함 없이 정치파업을 추종하는 박유기 집행부 모두 퇴색된 노동운동의 씁쓸한 현실을 보여준다.

 박유기 집행부는 외부 정치파업을 감행한 대가로 현대차 노조 내부에서 정치적 리스크를 안게 됐다. 노조원들은 원치 않는 정치파업으로 인한 임금손실에다 연내 타결에 실패하면 가계 지출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세금폭탄까지 떠안을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집행부를 비난하는 분위기다.

 올해 정년퇴직자들 원성은 더 높다. 연내 타결이 물건너가면 재직일 기준으로 지급하는 타결 일시금, 성과급을 받지 못하고 회사를 떠나야 한다. 노조원의 권익보다 정치파업을 선택했기에 노동조합의 '직무유기'로 비춰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다 연내 타결이 안되면 또 회사에 모든 책임을 돌릴 것인가. 회사는 제네시스 브랜드를 필두로 새로운 질적 도약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는데 노조는 찬물을 끼얹기에 바쁜 모양새다. 증권가에서 회자되는 '박유기 리스크'가 현실화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