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해체종합기술연구센터 건립이 1년 지연됐다. 연구센터 건립사업이 미래부와 산업부 부처간 이견으로 예비타당성 조사의 문턱을 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래부는 원전해체센터를 연구중심의 기관으로 설립해 원전해체를 위한 기술개발에 중심을 두고 있으나, 산업부는 목적이 해체와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사업 등 사업을 하기 위한 것이라 사업적 측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예타보고서를 만들고 있는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3년 째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부처간 의견 불일치 때문이다. 심사위원들은 원자력해체 연구센터를 단순한 원천기술 연구기관이 아니라 실제 원전 해체작업을 맡게 될 기관으로 보완하라고 전담부인 미래부에 요구한 상태다.

 예타를 둘러싼 정부 부처의 이같은 동향은 타 지자체들과 함께 유치 경쟁을 펼치고 있는 울산으로서는 되짚어볼 사안들이 많다. 상용기술을 단기간에 개발할 수 있는 지역을 입지로 선정할 수 밖에 없는 부처의 입장이 이번에 나타났듯 울산이 부지 선정에서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울산으로서는 최소 6개월에서 1년이라는 기간이 추가로 확보된 만큼 유치전략을 보완할 수 있는 시간도 벌었다.

 부산과 공동 유치 전략을 펴고 있는 울산은 타 지자체보다 한 발 뒤쳐지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경북은 원자력환경공단 한전KPS 한국전력기술 포스텍 두산중공업 등과 협약을 체결하고 경주시민 22만 명이 건립 촉구 서명운동을 벌여 정부 부처에 전달하는 등 유치에 사활을 걸어 왔다.

 그동안 울산도 반경 30㎞ 내 원전 16기가 모여 있는 지역이지만 정부 혜택이 미흡하다며 원전해체센터 유치 논리를 펴왔다. 울산시의회도 이 센터 유치를 원전산업 육성분야로 선정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원전특위 역량을 결집시키는 등 적극적이다.

 이에 지금부터는 울산이 원전산업과 관련된 산업 및 연구기반이 풍부해 원전해체센터가 건립되면 원전 해체 기술 개발 효과가 탁월하다는 점을 더욱 부각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는 이런 지역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는 등 유치 전략의 완성도를 높혀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