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년 전, 반지하방에서 생활고에 시달리던 세 모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송파 세 모녀' 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세 모녀의 비극에도 불구하고 이후 독거노인이 자신의 장례비를 남겨두고 자살한 일, 5남매를 둔 70대 할아버지가 단칸방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은 일 등 안타까운 일이 되풀이됐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1개 평가부문 가운데 '사회적 연계' 부문에서 36개 조사대상국 중 최악을 기록했다.

 이는 옆집에 누가 살고 있는지도 모르는 삭막한 우리사회의 현실을 방증해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비는 재정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사회복지예산 증가로 인해 일부 지자체는 예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복지비로 쓰고 있다.
 2016년 정부예산 중 보건·복지·노동부문 예산은 전체의 31.8%인 129조 9,000억 원으로 전년에 비해 6.2% 증가했고 울산시의 경우도 사회복지·보건의료 예산이 6,986억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구 또한 사회복지·보건의료 예산을 전체예산의 48.4%를 편성해 사회적 약자의 안전망 구축을 위한 해피투게더타운, 청소년 해피문화센터, 장애아동 전담 공공어린이집, 여성친화도시 인증, 노인 시니어클럽 지원 등 다양한 복지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 기초노령연금 지원, 보육료 및 양육비 지원, 긴급복지사업으로 생계, 의료, 교육, 주거 등 사회적 돌봄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 배려와 나눔의 행복남구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복지서비스와 제도를 확대하고, 촘촘한 사회복지망을 구축하고 있지만 제도의 그물에서 벗어나 복지의 사각지대에 웅크린 사람들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무엇보다 복지문제는 주민의 행복, 삶의 질과 연관된 문제인 만큼 현실을 직시한 합리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하며 정치권이나 중앙정부차원이 아닌 우리 구의 실정에 맞는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절실하다.
 많은 고민 끝에 남구도 수요자 중심의 민관협력 복지전달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이번에 이 역할을 해 줄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구성하게 됐다.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란 사회복지제도 기준상의 문제 등으로 제도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사각지대의 어려운 이웃에게 민간자원으로 나눔과 결연 등을 연계·협력하는 민관협력체이다.
 생활이 어려운 이웃을 발굴하고 필요한 복지자원을 연계해 각 동의 특성에 맞게 복지사업을 운영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의 복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내 이웃의 복지문제를 스스로, 또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남구는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을 위해 지난해 말 관련조례를 개정했고 16일 드디어 발대식을 개최한다.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는 그 동안 마을복지에 관심을 갖고 이웃사랑을 꾸준히 실천해 온 지역사회보장기관 실무자, 복지위원, 통장, 주민자치위원, 종교·금융기관, 병원 종사자, 교사, 자원봉사자 등 다양한 계층 220여 명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앞으로 △사각지대 발굴 △지역공동사업 개발 △복합사례관리지원 등의 사회보장 증진사업을 펼쳐나가게 된다.
 함께 나누고 공유하는 동네일수록 사람들은 더 신뢰하고 미래에 긍정적이고 삶의 행복을 더 느낀다고 한다.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소외된 사람 없이 모두에게 희망을 주고, 더불어 잘사는 따뜻한 사회'라는 가치 실현을 위해 소통과 돌봄의 휴먼 네트워크가 될 것이다.
 누군가 '복지'는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길'이라고 했다.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그 길이 되어 줄 거라 확신하며 앞으로 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