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부

문화부 기자 일을 하는 동안 가장 많이 들은 얘기 중 하나는 바로 '울산에도 문화재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문진기금 심사가 잘못되거나 타 지역은 하는 사업을 받지 못할 때, 전문 문예행정이 아쉬울 때 방패막이 역시 재단이었다.

    많은 이들이 '재단만 생기면…' 했다. 그만큼 지역 문예계를 살릴 구원병 같았던 재단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설립 초기에는 몸집을 작게 해 출발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확대될 가능성은 높다.

 재단은 십수년전 민선 5기 시장의 공약이었다. 그러나 차일피일 세월은 흘러 민선 6기인 지난해 1월 다시 검토됐다. 이후 울발연의 설립 타당성 연구를 거쳐 시가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지금까지 재단설립과 관련한 일체사항은 몇몇 행정 공무원의 손에만 맡겨져 있다. 지난해 9월 기본계획(안)수립과 출자출연기관 타당성 심의까지 통과했지만, 시민 의견수렴은 물론 설명회 한차례 없었다.

 일각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여기저기 들린다. 시는 적정 규모와 예산계획에 대해 정부 승인을 받는 등 큰 그림을 그린 후 의견 수렴을 한다지만, 반대로 이는 중요한 틀은 다 짠 후 거기에 의견을 보태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타 시도 벤치마킹으로만 짜여졌다보니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수립이 되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문화재단은 결국 예술인과 시민의 문화 향유권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문화불모지란 오명 속에 타시도만큼 시민들이 누리지 못했던 것을 이제라도 제대로 된 전문 문예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해 시민들이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현재까지 보여준 시의 행정은 설립이란 결단을 속 시원히 내린 부분은 높이 평가되지만 아쉬운 부분이 있다. 공들여 상을 다 차렸는데, 막상 상을 받는 사람이 요리가 마음에 안 드는 상황이 오면 어쩔건가. 그 때 다시 새 요리를 올리거나 기존 요리를 바꾸는 데는 품이 더 들수 밖에 없을 것이다. 보다 많은 이들과 얘기하며 걷는 길은 비록 느리지만, 더 많은 것을 얻는 여정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