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날이 갈수록 심화되는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선거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져 투표율이 낮아지고 있다.
 선거때마다 우리 선관위에서는 국민들이 신성한 참정권을 올바르게 행사하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선관위의 계도·홍보만으로는 투표율 제고에 한계가 있다.
 특히 우리사회의 뿌리깊은 정치불신과 개인주의적인 사고의 만연으로 젊은 층의 선거에 대한 외면이 이땅의 정치발전에 커다란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젊은 층일수록 평소 정치권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기성 정치인들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가혹하리 만큼 혹독한 평가를 내리면서도 정작 투표는 기피하고 있는 이중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미국의 연극평론가인 조지 네이선은 "나쁜 관리는 투표를 하지 않은 선량한 시민들이 선출한다"한다고 했다.
 또한 루소는 "내 나라에 대해 나는 무관하다고 말하는 자 있다면 그 국가는 이미 멸망하였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선거에 관심이 없고 투표를 포기한 사람은 정치인들의 행태에 간섭하거나 비판할 자격이 없다.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참정권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선진 민주국가인 미국과 영국에서도 1920년대까지 재산이 적은 사람이나 여성들에게는 투표권이 부여되지 않았다.
 그들은 끊임없는 투쟁과 노력으로 투표권을 얻었고, 이슬람권의 많은 국가들은 아직도 여성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들과 비교하면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자랑스럽고 행복하지 않은가?
 선거권은 권리이기 이전에 국민으로써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의무임을 자각해야 할때이다.
 나의 올바른 한표가 정치개혁을 통한 진정한 민주주의 정착과 국가발전의 밀알이 된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젊은 유권자들이 이번 총선에 앞장서길 기대해 본다.
 지난 3월 7일 '대학생·청년 공동행동 네트워크'라는 조직이 발족됐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10개 대학의 총학생회와 청년단체 '20·30정치공동체 청년하다'로 구성된 이 조직은 4.13총선용으로 학내 의사결정에 학생 참여 보장, 고등교육재정 확보, 반값 등록금, 청년일자리 확보 등 6개의 '공동의제'를 제시하고 이를 관철시키기 위하여 서울도심 집회 개최 및 각 대학의 소속 선거구 후보자와의 토론회를 열어 그들의 정책을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의 활동이 정당·후보자들의 정책선거를 유도하고 청년들의 투표참여로 이어지길 간절히 기대해 본다.
 우리는 흔히 찍을 후보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후보들의 정견이나 공약·인물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나은 후보를 찍으면 된다.
 그러면 당선되지 아니할 후보가 배제되는 것이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정치발전과 개혁을 이루는 단초가 되는 것이다.

 선거때만 국리민복을 외치고 선거가 끝나기 무섭게 당리당략에 매몰되어 정쟁으로 임기를 허송하는 작금의 정치현실에 어느 후보에겐들 표를 주고 싶은 마음이 있겠는가?
 정치인들 스스로 변하기를 기대할 수 없다면 우리 유권자들이 표로써 심판하여 정치판을 바꿔야 하지 않겠는가? 정치권에 대한 혐오에 가까운 염증과 불신은 우리 스스로 털어 버리는 수 밖에 없어 보인다.
 이번 선거만큼은 용기있고 고발정신이 강한 젊은 유권자들이 앞장서길 바란다.

 이땅의 젊은이들이 배타적인 권리주장에 앞서 우리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의무와 책임을 소중히 여길 줄 아는 멋진 젊은이들이 되도록 노력해 주길 바란다. 제발 젊은 지성인들의 행동하는 양심을 보고 싶다.
 이제는 우리 국민들이 판단할 때이다. 정말 올바른 판단, 후회없는 결정을 내려야 할 때이다. 그리고 그 마음의 결정을 4월 13일 투표소에 직접 가서 투표를 함으로써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백마디 구호보다 단 한번의 실천하는 양심이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