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부

울발연 울산학연구센터가 올해로 열 돌을 맞았다. 그런데 10년이란 세월이 무색하게, 아직도 겸임 센터장에 겸임 연구원, 연구원 등 직원이 단 세명 뿐이다. 울산이 타 시도처럼 지역사를 제대로 연구, 활용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있으면 또 모르겠다. 그런데 그것도 없는 상황에서 센터가 이처럼 초라하게 명맥만 유지하는 현실은 지역문화를 아끼는 이들의 심정을 참담하고 안타깝게 한다.

 민선 6기 출범 후 시정기조를 정부의 문화융성 국정기조와 발맞춰 '따뜻하고 품격있는 창조, 문화도시'로 내세웠을 때, 지역 문화인들은 내심 기대가 컸다. 그러나 정부 정책이 결국 개발 논리의 손을 들어준 문화재 정책이나 돈 되는 한류, 보여주기식 행사만 우선시하는 '창조경제의 곁다리'에 불과하단 사실이 드러나면서 실망을 안겼다.

 문제는 울산 역시 비슷해서 '창조는 없고 경제만 있다'는 지역 문예계의 자조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온지 오래다. 경제가 어렵지만, 신성장 먹거리를 창출하고 사람이 살만한 도시를 만들려면 어느 정도 제대로 된 문화정책도 꾸려야 하는데, 돈이 되거나 겉으로 드러나는 대형 인프라사업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역사나 문화는 그것을 꼭 지금 당장 활용해 경제가치로 환원해야 가치있는 것이 아님에도 말이다.

 대표적 예가 바로 울산학센터를 방치하는 울산시 문화행정이다. 지난해 초 기자는 센터가 직원을 늘리긴 커녕 오히려 직원이 줄었다는 보도를 했다. 센터에 대한 의지가 없는 상황에서 또다른 대안으로 시사편찬위를 상설화하자는 보도도 했다. 곧이어 시는 시사편찬위 상설화는 어렵다며 그 역할을 센터가 보강할 수 있는지 질의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결과는 감감무소식이다. 그나마 추진한 것이 20주년을 맞아 기존 시사에 조금의 정보를 더해 단행본을 편찬하는 정도다.

 지역사를 기록하고, 그것을 무형의 콘텐츠로 활용하는 일은 분명 태화루나 시립미술관을 짓는 일처럼 드러나는 대업이 아닐 수 있다. 그렇지만 대규모 하드웨어만 짓거나 내실 없는 대규모 문화행사만 치르는 일은 속 빈 강정에 불과하다. 공해도시에서 격을 높여, 선진 창조도시로 가는 가장 빠른 지름길은 어쩌면 가장 티가 안나고 오래 걸리는 길에 있을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