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시인·소설가

외솔 최현배 선생의 위대한 한 생애가 울산시민들에게 새로이 알려진다.
 오는 27, 28일 이틀간에 걸쳐 창작뮤지컬 '외솔 겨레의 등불'(박용하 연출)이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대에서 화려하게 막을 올리게 되는 것이다. 우리 고장에서 가장 먼저 이렇게 순수예술로 승화됐으면 하고 아쉬움이 되던 것을 그래도 고향 후배들의 지혜와 노력으로 실행되는 것이 한없이 보람되고 자랑스럽다. 생전의 선생은 나라사랑과 함께 고향사랑의 애틋한 마음을 시조와 노래가사에 담아 남기셨다.
 정부로부터 초대 문교부 편수국장을 맡아 달라는 제의를 받게 되자 주위사람들이 찾아와 만류하게 됐다. 제자가 장관으로 있는 문교부로 가시면 체통이 떨어진다는 것이 만류의 이유였다. 그 말을 들을 때마다 선생님은 빙긋이 웃으시고 "그보다 더 아랫사람이 장관을 하고 있다 하더라도 한글을 바로 잡아 교과서를 만들어 내는 것이 더 시급한일이 아닌가" 하시면서 문교부 편수국장을 맡게 됐다.
 편수국장에 앉으신 선생님의 책상 위에는 당장 해내야 할 일이 산더미같이 쌓여만 있었다. 교과서의 체계를 잡는 일에서부터 전체 교육의 바른 밑자리를 깔아야 하는 등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업무에 묻혀 살게 됐다. 이런 와중에서도 선생님은 한글날의 노래가사와 고향 삼일사의 노래가사를 지으시고, 당대의 작곡가 나운영 선생에게 곡을 붙여 노래를 만든 다음 고향 병영에 선물로 남겼던 것이다.
 이 귀한 노래가 세월이 흐르면서 그만 희미하게 묻히게 되어 빛을 보지 못하게 되고 말았다. 선생님을 기리기 위해 결성된 외솔회가 지금은 수만 명의 회원을 헤아리게 됐지만 창립이 갓 되었을 땐 회원 수가 전국에서 300여 명에 불과했다. 고향인 울산에서도 박영출 전 문화원장과 우종건 울산시 총무국장 그리고 필자를 합해 단 3명 뿐이었다. 두 분에 비해서 애송이었던 필자가 더 밀리다시피 되어 지회장을 맡게 됐다.
 어느 날 우국장께서 삼일사 봉제회가 해마다 제사를 지내고 있고, 행사에는 학생들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니까 외솔 선생이 지은 삼일사의 노래를 찾아내 부르게 하면 좋겠다는 제의를 했다. 그날 이후 나의 머리 속에는 삼일사의 노래를 찾아내 널리 보급한다는 것이 큰 숙제가 되고 말았다. 그런데 그 숙제를 푸는 방안이 정말 엉뚱하게 뜻밖으로 생기게 됐다.
 1975년 여름이었던가 보다. 십리대밭 근방에서 낚시를 하던 어느 낚시꾼이 잡아 올린 붕어새끼 한 마리가 이상하게 등뼈가 굽어 있었다. 특정 공업지구로 선포된 이후 공해문제가 늘 촉각을 세우게 하던 때여서 태화강에 기형어가 잡혔다는 소식은 삽시간에 전국 뉴스가 되고 말았다. 중앙지, 지방지 할 것 없이 톱기사로 대서특필되고 방송 또한 가만있지 않았다. 드디어 올 것이 왔다. '이따이이따이'병이 곧 발생할 것이라는 식으로 두들겨 대니까 민심도 흉흉해 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보니 공단과 울산사회에 직장을 가진 자들의 탈울산현상이 생기고 울산을 떠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울산시가 딱할 정도로 고민에 빠졌다. 연일 사회단체장들을 모으고 회의를 거듭했으나, 별 뾰족한 방법이 나오지 않았다. 예총회장으로 대책회의에 참가하고 돌아온 나는 예총의 할 일을 찾게 됐다. 이참에 대중가요를 만들어 정을 붙이고 울산에 눌러 살자는 내용을 담은 유행가를 만들겠다는 생각을 굳히게 됐다. 곧 '울산에 살자'라고 하는 가사를 짓고 서울의 오아시스 레코드사로 보내 버렸다. 그랬더니 바로 회신이 왔다. 방송사의 간부가 정책적인 노래를 만들고 제작까지 의뢰했으니 구미가 당겼던 모양이다. 바로 작곡에 들어가고 노래는 가수 김세레나가 희망한다기에 그렇게 하라 해놓고 보니 언뜻 생각나는 것이 있었다. 삼일사의 노래였다. 요즘은 CD로 제작을 하지만 당시에는 레코드에 맞는 LP판으로 제작하게 되어 있어 앞면과 뒷면의 머릿곡을 항상 널리 PR하는 곡으로 올려 제작하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에 1면에는 울산에 살자 뒷면에는 삼일사의 노래를 실어야겠다고 계획하게 됐다. 그러나 레코드사에 삼일사의 노래가 있을리 없었다. 백방으로 알아보아도 도무지 악보와 가사를 구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나도 서울의 음악계 인사와 연세대학교에 알아보았으나 찾을 길이 없었다. 그렇게 발을 구르며 찾아도 찾지 못하던 악보와 가사는 바로 이웃에서 찾아내게 됐으니 행운이라면 더 없이 기쁜 행운이었다. 중등음악교사로 오래 봉직하다가 교장으로 퇴임한 울산예총 이상복 고문이 나와 한 동네에 살고 있었는데 출근길에 집에 들러 고이 간직하고 있던 삼일사의 악보를 건네주었다.
 그런데 또 하나 내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 생겼다. 당시 인기 사중창단이 취입한 노래가사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게 가사를 달리 불렀던 것이다. 외솔 선생이 작사한 삼일사의 노래에 '청년아 청년아 병영청년아!'로 되어 있는 것을 '청년아 청년아 울산청년아!'로 취입된 때문이었다. 회사의 PD들과 음악계의 인사들을 같이 모아 의견을 물어 보았는데 그 자리에서는 다행히 오히려 울산청년아! 하는 것이 낫지 않으냐 하는 의견이었다. 하는 수 없이 그대로 방송을 통해서 자주 내 보내면서 디스크를 보낼만한 곳에는 다 보내버렸다. 그래서 한 동안 '울산에 살자'와 '삼일사의 노래'가 방송을 통해 알려지게 됐다. 울산시의 반응도 가사에 대한 잘못을 말하지 않았고 예총이 벌린 그 사업에 대한 지원을 기꺼이 해주었다. 나는 혹시 훗날에 가서 병영과 울산이란 가사가 바뀐 것에 대한 시비가 생길 것 같아 이 글을 쓰지만, 그 귀중한 디스크를 울산박물관에 기증해서 한 동안 산업관에 전시했으니 필경 가장 안전하게 또 영원히 보존될 것으로 믿으면서 그나마 편안한 마음을 가져 보는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