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 임금교섭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이미 13만대, 3조원가량의 천문학적 손해를 입었다. 노조의 파업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역상권은 물론 현대차에 목을 메고 있는 전국 300여 1차 협력업체를 비롯해 2·3차 업체 등 5,000여 부품업체도 심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행울협 시민단체의 호소와 중소기업협회의 현대차 불매운동과 정부의 긴급조정권 검토 등에 움찔한 탓인지 이번 주에는 파업을 않기로 했다. 하지만 이미 발생한 피해는 만회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런 데도 노조는 '추가요구'를 철회하지 않고 간부파업이란 이름으로 투쟁모드를 바꾸지 않고 있다. 이번 교섭으로 노조가 확보(?)한 금액은 약 2,000만 원에 이른다. 지난 2월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 1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명목임금은 330만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00만원이라면 다른 근로자의 6개월치 임금에 해당된다. 그럼에도 "더 내라"며 손을 벌리고 있다. '염치불고(廉恥不顧)'란 말이 딱 어울리는 노조다. 이것도 모자라, 태풍 '차바'가 동반한 폭우로 울산 전체가 비상사태였던 어제는 노숙투쟁 지원을 위해 노조 임원들이 서울에 올라가며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시키는 데만 급급했다. 지진이라는 '지변(地變)'에 이어 폭풍우라는 '천재(天災)'까지 겹친 마당에 스스로 '인재(人災)'까지 만든 현대차 노조는 더 이상 회사의 동반자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견원지간인 오, 월도 사태가 급했을 땐 같은 배를 타고 물을 건넜다. 하물며 자신들의 현재와 미래를 지켜주는 기업을 이렇게 괴롭혀도 되는가? 대한민국 직장인 최고수준의 연봉에 갖가지 복지혜택을 누리고 있는 게 현대차 직원(조합원)이다. 그럼에도 오불관언, 남이야 뭐라든 내 지갑 채우는 게 더 중요하다며 파업을 다반사로 하는 노조에게 더 이상 추가제시를 한다면 노조는 물론 회사도 비난의 화살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예전과 달리 요즘은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없다"고 한다. 그만큼 환경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직장인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기업의 위상에 따라 달리 대우를 받는 게 현실이다. 그러므로 고액연봉자가 곧 고도의 기술자(실력자)라는 등식이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노조의 무리수에 회사가 장단을 맞춰주면 스스로 만사휴의(萬事休矣) 즉 '만 가지 일을 끝'으로 몰고 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엄중히 생각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