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풍이 할퀴고 간 상처가 갈수록 깊어가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수마가 지나간 자리는 외형적으로 회복된 듯 보이지만 피해주민들의 마음의 상처와 생계 문제는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다 정부에서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하다보니 상대적으로 피해가 더 큰 지역 주민들의 원성은 커지는 모양새다. 급기야 기획재정부 2차관이 울산을 찾았을 때는 상인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당초 차관은 울산시청 재난상황실에서 피해 및 복구상황을 보고받은 뒤 침수 지역인 태화종합시장을 찾아 상인들을 위로하고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피해 복구작업에 참여하려 했지만 볼썽 사나운 일이 벌어졌다. 이미 울산시청에서 피해 상황을 청취한 차관이 현장 브리핑을 따로 듣지 않으려고 하자 해당 구청장은 거세게 항의하고 나섰다. 현장이 시끄러워지자 옆에 있던 상인들도 가세했다. 중구 주민들의 상처가 얼마나 깊은지를 잘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이번 태풍으로 중구는 물의 도시가 됐다. 중구는 자체 집계결과 이번 태풍으로 공공시설 78건에 155억2,000만 원, 사유시설 1,255건에 339억9,000만 원 등 전체 1,333건에 495억1,000만 원의 피해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등 관련 법상 하천 부지에 설치된 태화강 십리대숲 축구장, 야외 물놀이장, 둔치 주차장 등 공공시설 11건(75억2,400만 원), 상가와 자동차 등 사유시설 617건(336억2,200만 원) 등이 정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법상으로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다해도 상인이나 상가 지원은 별다른 규정이 없다. 상인은 농민·어민 등과 달리 판매하는 물건이 주요 재산인 만큼 상품 피해 보상이나 지원이 절실하지만 사실상 혜택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태풍 차바 피해가 집중된 울산 중구 태화시장·우정시장 상인들은 원성이 날로 높아가는 실정이다.
 법의 문제를 떠나 재해에 날벼락을 맞은 주민들에게 현실적인 지원책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해결점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인사의 방문이 달갑지 않더라도 현장을 보여주고 대책을 주문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추스리는 것도 단체장 등 해당기관 공직자들이 가져야 할 자세다. 고함부터 지른다고 해결되는일은 아무것도 없다는 이야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