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잊을만하면 또다시 터지는 국가공단 내 안전사고가 이제는 만성화되는 상황이다. 사고가 나면 대책이 쏟아지지만 이마저도 이제 울산 시민들은 믿지 않는 상황이 되고 있다. 시민들은 "국가공단에서 반복적으로 사고가 발생해도, 기업체들의 안전 불감증은 오래된 '풍토병'처럼 자리 잡고 있다"며 "국가공단을 관리하는 정부와 울산시가 내놓는 안전대책도 예방할 수 없는 '미봉책'에 그치고 있다"고 성토하는 분위기다.

지난 14일 한국석유공사의 원유비축기지 내 폭발사고가 발생하데 이어 24일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금정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근로자 1명이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실려갔다. 이날 오후 1시 40분께 금정에서 발생한 화재는 회사 경화제 건조동을 대부분 태우고 30여 분 만에 진화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수분이 함유된 분말을 히터에 넣어 말리던 중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히터기 불량 여부와 업체 측의 안전관리 소홀 등을 조사 중이다.

이번 사고는 원유배관 폭발사고가 발생한 지 10일만에 또다시 터졌다는 점에서 기업체들의 안전 불감증이 여과 없이 노출됐다. 앞서 14일에는 한국석유공사 원유비축기지에서 배관이 폭발하면서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다쳤다. 울산은 화학물질 취급량은 전국의 36.5%, 유독물질 취급량은 25.5%로 모두 전국 1위인 위험지역이다. 화학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부처 간 협업조직인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가 구축돼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사고 발생을 막지 못해 해마다 화학물질 사고가 되풀이 되고 있다. 1972년에 조성된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20개 입주업체 가운데 10년이 넘은 15개사가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상황이다.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땅 밑에는 업체끼리 가스와 화학연료를 주고받는 180㎞의 매설관이 거미줄처럼 얽혀있어 사고가 발생하면 연쇄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툭하면 터지는 사고도 사고지만 사고 이후 달라지는 게 없다는 점이다. 안전을 외치고 시스템 구축을 홍보하지만 실상은 또 다른 사고로 이어진다. 노후화 등 근본적인 문제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고는 부주의에 의해서 일어난다.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인화성이 강한 화학물질이 발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 안전 수칙 위반이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구호로만 외치는 안전이 아니라 현장에서 철저하게 실행되는 안전이 시급한 대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