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해 재난에 대한 울산 시민들의 트라우마가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울산 시민 1,641명을 대상으로 시민안전 의식조사에서 잘 드러났다. 응답자의 66.0%가 울산이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다.

울산시가 실시한  설문조사는 9·12 경주 강진 발생 이후 여진이 계속된 지난 달 23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한 것으로, 설문은 △전반적 안전도 △재난사고별 체감안전도 △안전시책 인지도 △안전관련 정보습득 경로 등에 대해서 물었다. 조사 결과, 울산의 전반적인 안전도에 대해 '불안' 44.3%, '보통' 26.0%, '매우 불안' 21.7%, '안전' 7.6%, '매우 안전' 0.4%로 답해, 응답자의 66.0%가 울산은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밝혔다.

재난유형별 안전도 측면에서 자연재난은 지진·해일, 사회재난은 방사능 및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는 산업현장의 체감 안전도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연재난 분야에서는 지진·해일(83.5%)을 손꼽았고, 다음으로 대설·한파 7.3%, 가뭄·폭염 6.4%, 풍수해 2.8%로 나타났다. 사회재난 분야에서 62.9%가 방사능·유해화학물질 사고라고 답했다. 지반 침하·시설물 붕괴 18.4%, 교통사고 10.5%가 뒤를 이었다.

안전관리 분야에서 69.3%가 산업현장(작업장)에 대한 취약성을 지적했다. 이어 어린이·청소년시설 13.7%, 문화·체육·관광시설 8.5%, 식품·의료제품 8.5% 등을 꼽았다. 시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9·12' 경주 강진의 영향을 받아 지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울산시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연재난에 대한 예산 투입, 사회재난에 대한 정보 공개 및 인력 확충, 안전관리에 대한 규제 강화 및 지침 마련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이미 울산시는 시민안전 종합대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재난안전통합관리체계 구축이나 생활안전 취약분야 선제적 안전관리, 재연재난 피해 최소화 대책, 국가산단 안전관리 대책 등을 한해도 빼놓은 적이 없다. 매뉴얼이나 운영은 어느 정도 구축된 셈이다. 하지만 대책이 안전을 담보하는 건 아니다. 대책을 위한 대책에 그쳐서는 안되는 이유다. 현장과의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끊임없는 보완작업을 통해 안전대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각종 재난안전사고가 대책이 없어서 발생한 게 아니다. 문제는 이들 안전대책이 현장에 차질 없이 적용되고 시민 생활 속에 뿌리내릴 수 있느냐의 문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