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동안 뜸하던 불량식품이나 저질 식자재 둔갑행위가 또다시 시민들의 식탁을 위협하고 있다. 세관 등 감독기관이 수입검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적발 건수는 일부분에 불과해 얼마나 많은 불량 외국산 먹거리가 국내로 들어오는지 가늠하기 힘들다. 수년간 일본산 냉동멸치가 부산 기장 특산품 멸치로 둔갑시켜 유통한 일당이 무더기로 붙잡혔다.

멸치에서 식중독균과 대장균까지 검출됐지만 멸치를 구별할 수 없었던 소비자들은 상인들의 거짓말에 속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냉동창고를 설치하고 수입 멸치를 보관하다 주문이 들어오면 비위생적인 콘크리트 수족관에서 바닷물을 끌어다 냉동멸치를 해동했다. 해동된 멸치는 노란색 플라스틱 박스에 담아 인적이 드문 새벽이나 밤 시간대에 상인에게 은밀히 납품했다. 해경이 압수해 검사한 일본산 해동멸치 135kg에는 식중독균과 대장균 군이 검출됐다. 2012년에는 어류 사료용 멸치 6t이 식용으로 유통되기도 했다.

불과 며칠 전에는 부산에서 구토·설사를 유발하는 표백제로 범벅된 중국산 조미 오징어채 160여t(15억원 상당)을 수입해 유통한 업자들이 붙잡혔다. 이들은 전체 수입물량 중 5%의 오징어채만 표백제를 완전히 제거해 전면에 배치하는 수법으로 수입검사를 통과했다. 이들이 들여온 오징어채 중 130t가량은 이미 부산과 울산 등 시중에 유통됐다. 근래 발생한 일련의 불량식품 사건들을 보면 안심하고 먹을 게 별로 없어 소비자들의 걱정이 적지 않다. 먹을거리 문제는 시민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식품위생 위반 업체는 엄히 제재하는 게 마땅하다. 식품 가운데 특히 가공식품의 위생문제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단속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부실한 식자재에 가짜 식품류를 첨가해 불량식품을 만드는 곳은 이제 흔한 일이다. 문제는 이 같은 일들이 근절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불량식품의 제조나 유통이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일이지만 대부분 단속은 연례행사에 그친다. 한심한 일은 사고가 터진 후 안일한 대처방식이다. 소비자의 불안은 커지고 있지만 불량 식자재나 식품이 어디서 어떻게 유통되고 잇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식품 관련 범죄를 엄중히 처벌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뒷받침하고 유통경로도 철저히 밝혀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