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상공회의소와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재난과 울산경제의 진로'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이 행사는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과 500회가 넘는 여진이 발생함에 따라 원자력발전소와 석유화학공단으로 둘러싸인 울산의 위험도를 진단하고 앞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울산의 안전문제가 경제와 직접적인 영향에 있다면 안전한 도시 만들기를 위한 상시적인 시스템 구축을주문했다.

특히 울산은 양산단층, 울산단층 등 여러 단층이 존재해 결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과 울산 인근에 16기의 원전이 밀집돼 있고 공단에 200여 개 석유화학기업이 입주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실제로 이같은 위험시설이 밀잡돼 있지만 이들 설비 중 20%가량은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상황이다. 최악의 경기불황을 겪고 있는 울산의 경우 재난에 대한 울산 시민들의 트라우마도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이는 최근 울산시가 울산 시민 1,641명을 대상으로 시민안전 의식조사에서 잘 드러났다. 

무엇보다 일반시민들도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분야에서 69.3%가 산업현장(작업장)에 대한 취약성을 우려했다. 울산시는 이같은 시민들의 우려를 반영해 자연재난에 대한 예산 투입, 사회재난에 대한 정보 공개 및 인력 확충, 안전관리에 대한 규제 강화 및 지침 마련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이미 울산시는 시민안전 종합대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무엇보다 시스템이 중요하다. 재난안전통합관리체계 구축이나 생활안전 취약분야 선제적 안전관리, 재연재난 피해 최소화 대책, 국가산단 안전관리 대책 등을 한해도 빼놓은 적이 없다.

매뉴얼이나 운영은 어느 정도 구축된 셈이다. 하지만 대책이 안전을 담보하는 건 아니다. 대책을 위한 대책에 그쳐서는 안되는 이유다. 현장과의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끊임없는 보완작업을 통해 안전대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적인 관리를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시급하다. 지금까지의 각종 재난안전사고가 대책이 없어서 발생한 게 아니다. 문제는 이들 안전대책이 현장에 차질 없이 적용되고 시민 생활 속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관리하는 운영에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