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구대암각화 보존 문제가 내년초에는 확실한 방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 1월이면 반구대 암각화 보존에 관한 용역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이 용역은 지난  7월 가변형 물막이댐 실패 이후 울산시와 문화재청 합의로 진행 중이다. 용역비는 총 1억1,000만 원으로 시 2,000만 원, 문화재청 9,000만 원이다. 용역은 물막이댐이 실패한 만큼, 암각화 앞으로 물이 흐르지 않도록 80곒 앞에 생태제방을 쌓아 물길을 돌리는 게 골자다. 사연댐 수위를 낮추고 청도 운문댐 물을 울산 식수로 공급하는 안이 최선이지만, 천문학적 배관망 사업비와 대구·경북권 합의가 전제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청의 전향적 자세가 요구되고 있다. 암각화 보존문제는 10여 년을 끌어오고 있는 정부와 울산시의 대표적 갈등 현안이다. 시는 용역결과가 나오는 대로 정치권과 협조해 대정부 설득작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결국 문화재청의 태도다. 지난 국정감사 때 문화재청은 야당의 어처구니 없는 제안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빈축을 산 전례가 있다. 당시 손혜원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토목상하수도 전문가인 한무영 서울대 교수를 증인으로 초청해 울산의 물문제를 진단했다. 이 자리에서 한 교수는 절수 변기설치와 빗물 저장시설 등을 활용해 물 사용량을 줄여 사연댐 수위를 낮추자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울산 시민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280여ℓ로 세계 주요도시의 150ℓ보다 많다. 물 수요를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기존 13ℓ변기를 4.5ℓ초절수 변기로 바꾸면 1인당 물 사용량을 40ℓ가량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울산이 국내 주요 도시와 비교했을 때 울산시민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254ℓ로, 16개 시도 중 세번째로 물 절약 도시라는기초적인자료 조사도 하지 않은 졸속 감사였다. 그런데 그의 주장에 대해 나선화 문화재청장은 "새 대안을 환영한다"며 수자원관리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같은 정치권과 정부에 반구대암각화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는 일이 되어가고 있다. 잘못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봤자 정치권이나 문화재 당국은 귀를 닫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용역 결과가 생태제방으로 나오더라도 수용여부는 불확실하다. 정확한 데이터와 설득논리를 가지고 용역 결과에 대응하는자세가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