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 사업장의 근로손실 일수가 최근 10년 사이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의 자료를보면 12월 7일 현재까지 올해 울산지역 근로손실 일수가 53만8,526시간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이는 근로손실 일수를 통계로 잡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2006년 근로손실 일수는 31만7,059시간이었다. 근로손실 일수는 근로자 1명이 하루 8시간 파업한 일수로 계산한다. 파업 참여 근로자 수에 파업시간을 곱한 데에서 법정 근로시간인 8시간으로 나누면 근로손실 일수가 나온다. 울산지역 근로손실 일수는 2013년 21만4,263시간, 2014년 13만3,224시간, 2015년 9만8,279시간으로 최근 3년 사이 줄어들다가 올해 5배 이상 크게 늘어났다.

현대차 노사분규가 극심해 지역 근로손실 일수가 급증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고용부의 분석이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 과정에서 12년 만의 전면파업을 비롯해 모두 24차례 파업을 벌였다. 또 12차례 주말 특근을 거부하는 등 노사분규에 따른 회사의 생산차질 규모의 누계가 14만2,000여 대에 3조1,000여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파업 피해 규모가 3조원을 넘은 것은 현대차 노사분규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현대차 단일 사업장의 근로손실 일수만 따져도 51만3,605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수와 파업시간이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올해는 현대중공업 노사도 임금과 단체협약 교섭을 동시에 진행한 데다가 조선업 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조정까지 겹치면서 분규가 장기화하고 있다. 물론 근로자의 파업권은 당연한 권리다. 문제는 그 권리 행사가 얼마나 정당한가에 있다. 울산은 우리나라 노동운동의 심장이다. 1989년 120일간의 골리앗 투쟁으로 대표되는 울산 노동운동은 이후 우리나라 '춘투'의 시발점이자 전 사업장의 '풍향계' 역할을 해 왔다. 당시의 노동운동은 순수 노동운동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았기에 필요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상황은 그와는 다르다. 이 동안 파업으로 인한 근로손실 일수는 근로자 1,000명당 연평균 100일을 넘기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지나치게 많은 것이 사실이다. 수출시장 악화와 정방위 경기 악화에 내몰리는 상황에서 우리의 산업 현장이 자꾸만 뒷걸음질 치는 것은 방치해선 안된다. 노사 모두가 이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있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