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일부 학교에서 우레탄 트랙을 급하게 걷어냈지만 친환경 소재 수급의 어려움으로 재시공은 지연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당장 3월 새학기가 다가오지만 해당 학교 학생들은 상당 기간 동안 트랙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됐다. 울산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레탄 트랙이 깔린 울산의 일선 학교 93곳 운동장 가운데 76곳에서 유해물질인 중금속이 초과 검출됐다.

교육청은 이 중 하자보수 기간이 남은 20곳에는 친환경소재의 우레탄 트랙을 재시공했고 14곳은 우레탄 트랙을 걷어낸 뒤 마사토를 깔았다. 남은 42곳 학교는 현재 우레탄 트랙만 걷어 낸 채 콘크리트 바닥으로 방치하거나 임시방편으로 부직포를 덮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당초 시교육청은 우레탄 트랙 재시공에 필요한 예산 중 43억원을 확보해 올해 새학기 전에 친환경 소재로 교체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유해물질 관리 대상 기준을 강화하면서 시교육청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기존 규정에는 납과 카드뮴, 크롬, 수은 등 4종이 유해물질로 규정됐지만 아연이나 포탈레이트 등 유해물질이 29종으로 대폭 늘면서 이 기준에 맞는 친환경 소재 우레탄 트랙 생산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됐다고 한다. 이 같은 문제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새로운 기준에 맞는 우레탄 트랙 수요가 갑자기 몰리면서 재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제는 이대로 개학을 맞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무엇보다 시공 당시 우레탄 문제를 제대로 짚었다면 이같은 일은 없었을 것이다. 교육당국에서 학교 운동장에 우레탄 트랙을 설치할 당시 이같은 점을 고려하지 않았는지 묻고 싶다. 도대체 어떤 경위로 우레탄 트랙을 설치했고 이를 방치했는지 답답할 지경이다.

처음부터 우레탄의 위해 여부를 사전에 파악해야 함에도 이를 간과해 그동안 학생들이 중금속에 오염된 우레탄 트랙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게 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현재 우레탄 운동장은 대부분 걷어냈지만 이 같은 조치는 한마디로 미봉책에 불과하다. 하루빨리 대안을 찾아야 한다. 물론 예산이 수반되는 일인 만큼 어려움이 있겠지만 학생의 건강과 관련한 문제라는 점에서 다른 사업을 뒤로 미루더라도 이것 먼저 서둘러야 한다. 예산 이야기는 변명이 될 수 없다. 운동장을 보기에만 좋게 꾸미는 일은 사라져야 한다. 천연잔디가 답이지만 예산이 문제라면 그냥 마사토로 놔두는 게 답이다. 무엇보다 유해요소를 제거하는 것부터 출발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