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해에 비교적 안전했던 울산이 지난해 태풍과 지진 등 잇단 재난을 겪으면서 안전도시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 울산시도 시민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안전도시 울산시스템 구축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울산은 인접한 경주에서 여진이 계속되면서 경미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도 119 상황실에는 신고 전화가 쇄도하고 있는 데다 아직껏 수마가 할킨 상처도 아물지 않으면서 재해에 대한 시민 불안감은 높다.

울산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진, 태풍 등 각종 재난상황 발생 시 보다 신속하게 시민에게 재난상황이 전파될 수 있도록 '통합 재난방송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시스템 구축에는 국비(특별교부세) 1억3,400만 원이 투입됐다. 구·군 재난 및 마을방송시스템을 통합한 이 시스템은 재난 및 긴급 상황 발생 시 일괄 방송으로 재난정보가 전파된다. 구군별로 운영 중인 재난방송시스템은 117개소에 이른다. 시스템 구축은 구군시스템과 마을방송시스템 323개소가 통합되면서 시 경보통제소에서 경보사이렌 69개소와 함께 울산 전역에 재난방송이 전파된다. 이 시스템은 기상청 날씨정보 연계로 기상 상황과 지진경보 등 모니터링이 실시간 가능해져 재난 발생 시 신속·정확한 상황 판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재난 조기대응에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시 측은 기대하고 있다.

통합시스템 운영과 함께 재난안전 사각지대에 재난감시용 CCTV와 재난 경보시스템을 확대하는 등 ICT 기반 재난안전망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또 국민안전처가 '9·12 경주 강진'으로 촉발된 국민들의 재난 불안 해소를 위해 이달 중으로 지진방재분야 특화대학 육성 공모에 들어간다는 점에서 지역 내 대학이 선정될 수 있도록 총력전을 펼친다. 물론 안전도시가 이 같은 대책으로 완전히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이 누적될 때 안전한 도시는 우리에게 구호가 아닌 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겨울 유난히 화재 등 안전사고가 잦았다. 울산시와 소방당국이 대형 유통시설 등 다중집합시설에 대한 점검을 벌였지만 도심 내 위험시설물의 각종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는 점은 걱정거리다. 유사한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실천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도 새롭게 바꿔야 한다. 이 같은 모든 노력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국가적인 재난대비 시스템이 필요하다.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대목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