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균형 발전을 명분으로 시작한 공공기관 이전 사업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혁신도시는 지역의 일부로 편입돼 서서히 정착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문제는 지역과 이전 기관의 상생 발전이다. 이 부분에서는 여전히 많은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역 인재 채용이다. 지난 3년간 혁신도시에서 지역인재를 고용한 비율이 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울산이 전국 혁신도시 가운데 꼴찌 수준이다.

국회 교문위 염동열 의원(새누리당)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지방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계획'을 분석한 결과, 2014∼2016년 3년간 109개 공기업의 지역인재 고용률은 평균 12%에 그쳤다. 이들 공기업의 채용 규모와 지역인재 비율 추이를 보면 2014년에는 8,693명 가운데 10.2%인 888명이, 2015년에는 8,934명 중 12.4%인 1,109명이 지역인재였다. 지역별로 2016년 지역인재 채용률을 살펴보면 부산의 공기업이 27%(366명 중 99명)로 가장 높았고 대구가 21.3%(527명 중 112명), 경북이 17.4%(1,449명 중 252명)로 뒤를 이었다.

반면 울산의 공기업은 7.3%(797명 중 58명)로 가장 낮았고 충북(8.5%·318명 중 27명), 경남(11.2%·881명 중 99명) 등도 하위권이었다.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이 지역출신 인재채용에 인색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사실을 그대로 반영한 통계다. 물론 혁신도시가 지역으로 이전했다고 해서 무조건 지역인재를 우선 채용하라는 논리는 문제가 있다. 기관마다 필요한 인재가 있고, 연고지역에 따라 해당 지역출신 인재를 채용하라는 것은 형평에도 문제가 있다. 하지만 당초 정부가 지역혁신도시를 조성한 것이 단순한 기관의 지방이전이 아니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결단이었다는 점을 상기하면 형평성 논리만을 내세울 수 없는 특수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문제는 지역인재 채용의 내용이다. 모 기관에서는 신규 채용 100여명 가운데 5명을 지역 인재로 뽑았다. 이 같은 숫자가 과연 지역 우대 채용인지 의문이다. 차라리 지역인재 할당제 같은 제도적 장치를 갖추는 방안이 실효성이 높아 보인다. 불과 한자리 수의 지역출신을 뽑아놓고 우대채용이라면 합격한 이들의 기분은 어떨지 고려해야 한다. 그야말로 생색내기에 지역 출신들이 맘을 상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