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한 연구용역이 마무리 됐지만 협의안 도출에 진통을 겪으면서 최종 결과 발표가 미뤄지고 있다고 한다. 용역 완료가 당초 지난달 10일에서 한달이나 연기된 것도 문화재청의 보완 요구가 많았던 때문인데, 울산시는 어찌된 일인지 요구사항을 용역에 반영하고도 문화재청과의 협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결과 공개를 미루고 있다.

이번 용역에서는 울산시가 그동안 고수해온 '생태제방안'에 대한 큰 틀의 가닥은 잡았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문화재위원회와 국회 소관 상임위인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일부 위원들이 주장하는 '사연댐 수위조절안'을 의식해 선듯 용역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울산시는 지난해 9월 문화재청과 함께 용역비 1억1,000만원을 들여 전문업체에 맡긴 '반구대 암각화 보존에 관한 용역'을 지난 10일 완료했다. 용역은 암각화의 침수 방지에 초점을 맞춰 생태제방 설치안과 사연댐 수위조절안 등 지금까지 제시된 방안들의 장단점과 타당성, 효과성 등을 검증해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용역 보고서에는 암각화 앞을 흐르는 대곡천에 생태제방을 쌓아 물길을 돌리는 방안을 중심으로, 문화재청 등이 요구한 사연댐 수위조절안과 양자 절충안 등 5가지 후보안이 제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시는 이들 방안 중 시민의 안정적 식수확보와 직결된 사연댐 수위조절안은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기본 전제 하에 이달 말까지 문화재청을 상대로 생태제방안 설득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하지만 암각화 보존방안에 대한 실질적 결정권한을 가진 일부 문화재위원들과 국회 문교위원들이 사연댐 수위조절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앞으로의 협의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 지난해 이미 물막이댐이 실패한 만큼, 암각화 앞으로 물이 흐르지 않도록 80곒 앞에 생태제방을 쌓아 물길을 돌리는 게 현재 상황에서 최적의 안이라는 게 울산시의 입장이다. 사연댐 수위를 낮추고 청도 운문댐 물을 울산 식수로 공급하는 안이 최선이지만, 천문학적 배관망 사업비와 대구·경북권 합의가 전제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청의 전향적 자세가 요구되고 있다.

암각화 보존문제는 10여 년을 끌어오고 있는 정부와 울산시의 대표적 갈등 현안이다. 시간을 끌수록 다양한 목소리가 터져나와 중구난방식 보존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울산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물문제와 연계한 반구대보존안은 이제 철회되어야 한다. 본질은 반구대암각화 보존이라는 사실에 집중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