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인구감소세가 갈수록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통계로는 인구 유출 문제만이 아니라  지역의 출산율은 떨어진 반면 사망률은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나는 최악의 상황까지 초래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출생아 수는 1만900명으로 전년 1만1,700명보다 6.8%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도 9.4명으로 전년보다 6.9% 줄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 역시 1.42명으로 전년 1.49명보다 4.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기 울음소리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지만, 인구 고령화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한 사망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표준인구로 1,000명 당 사망자 수를 들여다보면 울산은 충북·강원·전남과 함께 3.7명을 기록해 가장 높았다. 지난해 울산지역 인구 1,000명당 자연증가 수를 뜻하는 자연증가율은 5.1명이다. 1997년 광역시 승격당시 14.4명이던 울산지역 자연증가율이 감소세를 지속해 2015년 6.4명으로 떨어지더니, 올해는 사상 최저 수준의 자연 증가율을 기록했다. 조선업 불황으로 타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유출 인구가 많은 순유출 지역이 울산이라는 오명도 쓰게 됐다.

지난 2015년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14개월 동안 총 9,800명이 유출됐다. 일자리가 줄면서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다, 산업재해·고령화 등으로 사망률은 전국 최고 수준인데 애 낳지 않는 현실까지 겹치면서 울산지역 인구절벽의 심각성은 더해진 상황이다. 문제는 울산의 인근지역에서는 오히려 지속적인 전입 초과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울산의 성장이 정체돼 있을 때 이들 지역은 기업 유치나 신산업 개발 등으로 성장에 올인하는 정책을 펼쳤다. 울산의 공장용지 값은 이미 수도권에 근접했고, 신규 공장용지를 확보하는데도 한계에 봉착했다. 특히 울산 중심권을 에워싸고 있는 그린벨트와 공해차단녹지 등이 이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문제는 이제 울산이 인구 150만 시대를 겨냥하고 나아가 200만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과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공격적인 인구정책이 필요하다. 인구는 곧 도시의 자산이자 미래성장의 담보물이다. 그런점에서 울산시의 인구정책도 보다 적극적인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