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갈수록 줄어드는 울산의 대(對) 중국 수출이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로 더 위축될 전망이다. 5년 연속 감소세가 지속되던 대중 수출이 사드 배치에 따른 경제보복으로 더욱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게 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국인의 한국관광을 중단하는 조치를 내리면서, 올해 울산 방문의 해를 선포하고 중국 관광객 유치 등으로 침체한 지역 경기 반전을 관광산업 활성화로 모색하던 울산으로서는 직격탄을 맞게 됐다. 


 5일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대 중국 수출액은 전년보다 1.4% 감소한 80억7,000만 달러에 그쳤다. 울산의 대중국  수출액은 2012년 이후 5년 연속 감소했고 지난해는 2004년(74억 달러) 이후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전체 수출액에서 대 중수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12.4%로 미국(14%·91억5,000만 달러)보다 낮았다.
 국가별 순위에서 2014년까지 울산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은 2015년 미국에 역전당한 이후 지금까지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이런 가운데 올들어 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에 따른 경제 보복을 노골화하면서 올해도 울산수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대세다.
 실제, 울산의 신성장동력으로 추진되는 동북아오일허브 구축사업을 비롯해 지역 내 주요기업들의 대 중국 경영 전략이 '중국발 사드 후폭풍'으로 차질을 빚는 모양새다.
 실무적으로 투자자 구성을 마무리하고 올해 초 착공하려던 동북아오일허브 북항사업은 25%의 지분 투자를 논의해 왔던 중국 국영석유회사인 시노펙의 자회사 시노마트가 투자 축소 및 철회를 검토 중인 알려졌다.
 사드 배치결정에 따른 보복조치로 풀이되고 있다.
 삼성SDI의 중국 내 입지도 위태로운 상황에 직면했다. 중국의 전격적인 배터리 인증 기준 강화 때문이다.
 현대차도 비상이다. 중국은 자국 내 영업 중인 완성차 업체에 "2018년까지 중국 판매량의 8% 이상을 전기차로 채우지 못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벌금을 부과할 것"이라는 방침을 통보했다. 현재 현대차 중국 판매분 가운데 전기차(EV)는 물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수소차가 한 대도 없다.


 울산의 대중 주력수출 품목인 석유화학 수출도 발등에 불이다.
 중국이 지난해 하반기 우리나라에 대해 조치한 반덤핑 12건, 세이프가드 1건 등 경제보복 총 13건 가운데 석유화학은 8건이다. 석유화학은 울산의 대중국 수출액에서 66%가량을 차지하는 품목이다.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더욱 노골화되면 울산으로서는 그만큼 경제적 타격이 예상됨을 여실히 보여주는 셈이다.
 설상가상으로 중국의 방한금지령을 내리면서, 울산시가 조선업 등으로 침체된 지역경기를 관광산업 활성화로 반전을 꾀하려던 정책에도 비상이 걸렸다.
 울산시는 광역시 승격 20주년을 맞아 올해 관광객 400만 명 유치를 내걸고 '2017 울산 방문의 해'를 선포하는 등 관광산업 활성화에 팔을 걷었다.
 하지만 중국인의 한국 관광을 금지하는 카드로 압박 수위가 높아지면서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의 울산 방문을 기약할 수 없게 됐다.
 이와 함께 사드 부지 제공으로 중국의 노골적 보복의 제물이 된 롯데의 울산 투자 사업에도 먹구름이 꼈다. 롯데는 KTX울산역 복합환승센터 건립과 북구 강동 롯데리조트 조성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울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가뜩이나 저성장의 늪에 빠진 울산경제가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보복으로 더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김미영기자 myidaho@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