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발전기업 기업공개 정책에 따라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한국동서발전의 상장이 계획된 일정보다 연기되거나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전력 공기업 시장개방에 대한 논란과 탄소배출권과 관련한 수익구조에 대한 의문이 상장에 큰 걸림돌로 작동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12월 공공기관운영위에서는 '에너지공공기관 상장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남동과 동서발전에 이어 중부, 서부, 남부발전은 오는 2019년, 한수원은 2020년까지 상장을 마치기로 했다.

 정부는 발전사 상장을 통해 시중 유동자금을 산업자금화 해 발전사 사업의 투자재원을 확보하고 에너지 인프라에 지속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동서발전은 IPO 대표 주관사로 한국투자증권이 공동 주관사로 신한금융투자를 선정하고 상장 작업을 추진중이다. 당초 공동주관사로 NH투자증권이 선정됐지만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서발전의 상장 방식은 정부 등 공공 지분을 최소 51% 유지하는 가운데 전체 지분의 20~30%만을 상장해 민영화가 아닌 혼합소유제 방식이다.

 동서발전은 '우량 공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지난 2015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4,54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4년 당기순이익 1,685억원에 비해 170%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의 경우 3분기까지만 4418억원을 벌어들여 작년 전체 당기순이익에 육박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20%에 달한다. 작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이 19.9%를 기록했다.
 작년 3분기 말 기준으로 동서발전의 자기자본은 4조3,625억원이다.

 이 같은 실적을 바탕으로 동서발전은 올 하반기에 상장하는 내부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정국이 어수선한 상황에서 공공성이 높은 전력 분야의 시장개방에 대한 논란으로 상장이 난항을 겪고 있다.
 무엇보다 발전 공기업의 상장이 공공성이 약화될 뿐 아니라 국부 유출의 우려가 높다는 우려 때문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주식 상장이나 유상증자를 통해 기관의 소유권을 민간에게 부분적으로 넘기는 것은 실질적인 민영화에 다름없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공공성이 높은 전력 분야의 상장은 사실상 재벌과 해외자본의 진입을 합법적으로 열어두는 만큼 위험성이 크다는 의견이다.

 또한 탄소배출권과 관련한 수익구조의 불안정성도 변수로 떠올랐다. 비용과 직결된 탄소배출권 가격이 해마다 큰폭으로 상승하고 있어, 동서발전에게는 수익에 악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는 비용과 직결된 사안이다. 석탄화력을 주력으로 하는 남동-동서발전은 발전량의 일정량을 신재생에너지로 채워야 하고, 배출 가능한 탄소량도 부과받은 상황이다. 따라서 온실가스를 줄이지 못하면 못한 양만큼 배출권을 사와야 한다. 이게 비용이다. 문제는 배출권 가격이 해마다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시장에서 거래되는 배출권 가격은 작년보다 50% 넘게 오른 톤당 2만6,500원 정도로 알려졌다. 석탄발전을 많이 보유한 남동과 동서발전에게는 수익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주관사들이 탄소배출권 제도를 문제 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급등하고 있는 배출권 가격과 과징금이 회사 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주관사들도 우려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미영기자 myidaho@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