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지혁 사회부 차장

다 지난 이야기지만, 굳이 다시 끄집어낸다면 현대중공업 노조의 '분사 저지'는 애초부터 절실한 문제가 아니었던 듯 하다.
 시간을 되돌려 2016 임단협 과정을 되짚어 보자.
 노조는 교섭 과정에서 회사의 2차례 걸친 제시안에 꼬투리를 잡고, 어깃장을 놓으며 무조건 '반대'만 외쳤다.

 노조가 요구한 임금 인상안 보다 많은 금액을 사측이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옵션'이 맘에 들지 않는다는 핑계로 교섭을 질질 끌었다. 
 '구조조정 반대'와 '분사 저지'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노조가 진정 원하는 바는 아니었다.
 임금 및 단체 협상에도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고, 이 때문에 일부 조합원들이 불만을 제기하던 터였다.
 교섭에 임한 사측은 "노조가 무얼 요구하는지 알 수가 없어 교섭이 진행되지 않는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분사가 결정되고 벼랑 끝에 몰린 노조는 드디어 공식적으로 진짜 요구안을 내밀었다.
 회사가 독립하더라도 노조는 하나라는 '4사 1노조'가 그것이다.
 사실 노조는 분사가 결정되기 전에도 겉으로는 분사 저지를 떠들면서 교섭 장에서는 4사 1노조를 줄기차게 요구했다. 4사 1노조는 분사를 받아들이고 이를 전제로 요구하는 카드다.
 그렇다면 노조는 분사 저지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궁극적으로는 4사 1노조를 취하려는 전략을 펼쳤다는 분석이 설득력 있다.

 임단협이야 어찌되든, 회사의 생존 전략이야 어떻게 되든 말든 결국 노조의 세력 유지가 최후의 목표였던 셈이다.
 이 같은 노조의 '한 우물 파기' 전략에 결국 희생자는 파업 손실금으로 월급이 반토막 나고 아직까지 지난해 성과금도 받지 못하고 있는 일반 조합원들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