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울산시 울주군이 20일 오후 군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옹기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세미나'에 참석한 신장열 군수와 발제자, 토론자 등이 기념좔영하고 있다.

국내 최대 옹기 생산지인 울산 울주군 외고산 옹기마을로 대표되는 '옹기문화'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인류문화로서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조사·연구작업과 함께 국가 차원의 등재종목 선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언이 나왔다.
 무엇보다 울산시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된 '울산옹기장'을 국가무형문화재 제96호인 '옹기장'으로 통합, 격상시키는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시 울주군이 울산옹기축제 2년 연속 유망축제 선정을 기념해 20일 오후 군청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옹기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세미나'에서 허권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은 선행 절차와 전제 조건을 제시했다.
 허 사무총장은 옹기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우선 문화재청과 지자체에서 해당 종목에 대한 사전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잠정 목록으로 선정하는 정책적 결정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옹기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방안으로 단독등재와 공동등재 두가지 안을 제시하고 각 방안의 장단점을 설명했다. 우리의 옹기문화만으로 단독 등재할 경우 짧은 시기에 등재작업을 마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2년에 1개 종목만 등재를 신청할 수 있어 다른 종목에 우선해 국내 종목으로 선정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말했다.
 우리와 유사한 옹기문화를 가진 다른 나라와 공동등재를 추진할 경우, 사례 조사와 신청서 공동작성 등의 과정이 필요한 반면, 등재 신청 건수 제한에 걸리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옹기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과제로 옹기문화의 다양성과 공유성을 규명하기 위한 정보수집과 연구활동, 국내외 공동제한 교류를 통한 옹기문화 전승자 네트워크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이와 함께 옹기문화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고, 등재 절차를 밟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업체제와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도 짚었다. 이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오훈성 박사는 '세계무형유산 축제 사례 및 울산옹기축제의 발전방향'을 통해 일본과 몽골, 베트남 등 세계 15개국의 23개 무형유산 활용 축제 사례를 소개한 뒤 △전승형 축제 방향성 제고 △옹기전통문화 계승 등을 통한 울산옹기축제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축제기간 한시적인 운영에서 벗어나 연중 상시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세대간 전승 등을 통해 공동체에 기반한 살아 있는 무형유산으로 옹기문화를 발전시킬 것을 조언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토론에 나선 김현식 교수(동부산대학교 생활도예과)는 "전통옹기 문화의 보존과 계승 방안, 한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옹기의 세계화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옹기를 만드는 옹기장들과 관련한 연구조사와 전시,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과 옹기를 사랑하는 모든 관계자들이 주체가 되어 이 시대에 맞는 옹기, 현대문화에 부응하는 옹기의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경례 울주군 문화관광과장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옹기문화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서 옹기의 가치에 대해 짚어보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면서 "이번 세미나가 울주군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인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의 발전에 대해 모색하는 토론의 장이었다"고 말했다.
 최성환기자 csh@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