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함께 지역 대선공약에 대한 관심이 높다. 지역 대선 공약은 시작은 요란하지만 대부분이 지켜지지 않는 속빈강정이 되고 마는 경우가 허다했다. 대표적인 것이 박근혜 정부가 공약한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이다. 요란한 약속과는 달리 국립산업박물관은 '시립'으로 격을 낮추고 운영도 울산시가 하는 방안이 논의되는가하면 여론조사에 타당성 조사까지 조사와 용역에만 몇년을 허비했다.

국립산박의 모든 것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는 울산에 국립산업박물관이 들어서는 것 자체가 못마땅한 듯 시종일관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기재부는 박물관의 규모 축소를 최소해 비용을 줄여야한다는 논리를 고수해왔다. 예타를 의뢰받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국립산박이 당초 계획대로 건립될 경우 비용이 편익을 초과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그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다. 운영을 전적으로 울산시가 책임지는 시립 박물관으로 격하한다면 굳이 엄청난 운영비를 대야하는 산업박물관을 만들 이유가 없다.

당초 대선공약으로 출발한 국립산박이 이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조차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울산이 산업수도로서 그 면모를 갖추고 대한민국 근대화에 이바지한 위상을 제대로 살피기 위해서는 산업박물관을 국립으로 만들어 제대로 짓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문제는 무엇보다 국립에 걸맞은 규모부터 확보해야 한다. 국립산박은 당초에는 4,393억 원을 들여 남구 신정동 울산대공원 일대 23만 2,112㎡부지에 연면적 8만 476㎡로 계획됐었다. 또 대선공약의 취지에 맞춰 유물 전시와 교육, 체험은 물론, 편의 및 여가콘텐츠가 가미된 복합문화기능을 갖춘 '4세대 박물관'으로 구축한다는 것이 당초의 계획이었다. 산박의 규모나 골격에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는 기재부가 신규 사업을 최대한 억제하거나 비용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기에 이 문제는 당초 계획과는 다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전 정부에서 울산에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과 국립산재모병원 건립 등 대선 공약 사업 추진했지만 이제 정권이 바뀐 상황이다. 2018년에는 건축비를 국가예산에 반영시켜 착공하고 2020년 준공 목표를 맞춘다는 계획이 지켜질지도 불확실하다. 정권이 바뀌면 사라지는 공약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