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앞으로 3년이 지나면 울산지역 대형 사업장에서 쏟아져 나오는 산업폐기물 매립에 비상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른바 '산폐대란'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울산의 산업폐기물 중 불연성 폐기물은 연간 120만 톤이 넘는다. 그동안 울산에는 3곳의 처리 업체가 산업 폐기물 매립을 책임져 왔다. 그런데 이 중 한 곳이 매립 한계치를 4개월여 남겨두고 있고 나머지 2곳도 1년 반이나 3년 이내에 한계용량을 초과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처리비용도 크게 상승해 기업체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결국 울산공단의 기업체들은 경주나 양산, 부산, 포항 등지의 매립업체에 폐기물 처리를 맡겨야 하는 지경에 이를지도 모른다. 기업체들은 20%이상 오른 비싼 운송료에다 장거리 운반에 따른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그런데 울산시는 산업폐기물 매립장 용량초과 신호를 알고 있으면서도 특혜논란 때문에 기업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기업체 자체적으로 재활용률을 높이거나 투자를 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인식이다. 기업체들은 폐기물 매립장이 없는 공단은 화장실 없는 건물과 같다며, 공장유치에 앞서 매립장 확보에 나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산업폐기물 매립장은 공장을 운용하는데 필수적인 설비이다.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부산물을 처리할 공간이 필요하다.

지역 산업계는 울산시와 해당 지자체가 울산공단의 대외 경쟁력을 위해 산폐물 매립장 확보에 나서라고 요구한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울산시가 계속 현실을 외면한다면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외치는 것은 모순'이라는 비난을 받게 될 것이다. 이미 상황이 대란 조짐을 보이고 있는 단계이고 매립장은 실제 매립까지 환경영향평가와 허가, 시설공사까지 2~5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이미 울산공단의 산업폐기물 문제는 빨간불이 켜졌다는게 업체의 지적이 맞는 말이다.

울산시가 더 이상 이 문제를 외면하지 말아야 할 이유이다. 물론 현실적으로 울산에 산업폐기물 매립장을 추가로 확보하기란 쉽지 않다. 인구밀집 지역을 피하고 님비현상도 돌파해야 한다. 넓은 부지가 필요하니 울주군이나 경주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텐데 해당 지역의 반발도 충분히 예상된다. 울산시와 지자체는 지금부터라도 매립장 확보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기업체들은 산폐물 발생량 저감과 재활용률 제고, 매립비율을 낮추면서 매립장 수명을 늘려가는 상생방안을 실천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