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약고'로 불리는 울산의 노후 국가산단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본격화 하고 있다.
 노후 국가산단 안전관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내년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울산 석유화학공단의 노후시설과 지하배관의 긴급 안전진단 및 개보수 사업 지원 등을 울산 공약으로 내걸었다.

 원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내 입지
 지진·화재·폭발 등 시민 불안 가중
 市,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보고회
 중장기적 관리 등 근원적 대책 마련
 文 정부 핵심공약 국비 지원 탄력 기대


 울산시는 17일 울산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지난해 경주 강진 발생 이후 잇단 여진으로 노후화된 국가산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국가산단에서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는 지속 발생해 시민 불안감이 높기 때문인데, 용역을 통해 근원적인 안전대책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용역은 울산대 산학협력단이 내년 4월까지 진행한다.
 시에 따르면 주거지와 인접한 지역에 들어선 울산 국가산단은 조성된 지 대부분 50년이 경과돼 기반시설은 노후화하고, 산업시설 집적화로 위험물 및 고압가스는 고밀화돼 있다.


 또 원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내 주요 산업시설들이 입지해 있다.
 특히 경주 등 인근 지역의 지진 영향 등으로 노후 국가산단에 대한 내진설계에 대한 불안감은 높은 데, 일부 시설물은 내진설계 적용이 안됐다.
 또 지진하중(강진 및 여진)으로 설비 건전성 및 피로도가 우려됐다. 석유화학장치시설의 경우 지진 피해 시 치명적 영향에 노출될 것으로 예측됐다.
 국회 산자위 김종훈 의원이 지난해 9월 경주 강진 발생 이후 산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울산 국가산단 건축물 309동을 대상으로 한 부분조사에서 43%인 134동이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개 업체 시설물 1,683개를 대상으로 한 내진설계 조사에서도 21%인 357개 시설물이 비내진설계였다. 특히 내진설계 규제대상 가스탱크의 경우 494개 중 43%인 212개가 내진설계가 반영이 안된 시설물로 조사됐다.
 게다가 국가산단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데, 지난 달 21일 S-OIL 크레인 전도로 배관이 폭발하면서 5명이 사상하는 등 최근 3년 간 국가산단에서 발생한 주요사고는 한화케미칼 보수작업 중 폭발 7명 사상(2015년 7월), 이수화학 설비노후로 불산 1kℓ누출(2015년 11월), 고려아연 보수작업 중 황산 39kℓ누출 6명 사상(2016년 6월), 한국석유공사 유증기 폭발 6명 사상(2016년 10월) 등 끊이지 않고 있다.


 시가 울산형 맞춤 국가산단 관리 체계 구축에 나선 이유인데, 시 측은 "울산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은 울산지역 산업안전분야를 아우르는 최상위 계획으로 수립 후 10년 간 울산시 산업안전 관리 및 안전분야 산업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내년 상반기 울산형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이 수립되면 유관기관 간 산학연관 네트워크(거버너스)도 구축한다.
 울산형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은 △중장기적 관리목표와 비전 설정 △석유화학 공정 등 지상·지하매설 시설물 총체적 관리방안 △안전사고 등 기초 데이터를 통한 안전성 조사(내진시설 및 노후도) △유틸리티 및 방재역량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안전대책 마련 △일원화된 지휘계통 확립과 현장 지휘기능 강화 △연차별 세부추진계획 수립 등이 골자다.
 시는 이번 용역으로 체계적인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끌어내 산업과 안전이 공생하는 도시 울산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울산형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으로 노후화한 국가산단 안전관리에 총체적으로 대응하고 기업과 도시의 안전은 물론, 시민의 막연한 불안감과 우려를 해소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두은기자 jde03@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