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화약고'로 불리는 노후 국가산단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보다 촘촘하게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는 광역시 승격 20주년을 맞아 도시품격을 높이는 데 집중해 산업수도의 위상을 되찾겠다는 포부가 안전도시로 구현될 수 있기에 안전한 도시만들기에 매진하고 있다.

문제는 시민들의 의식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노후 국가산단 안전관리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핵심 과제인 '산업안전' 공약과 궤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내년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울산 석유화학공단의 노후시설과 지하배관의 긴급 안전진단 및 개보수 사업 지원 등을 울산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에 발맞춰 울산시는 울산 국가산단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보고회를 갖고 안전한 도시만들기에 본격 행보를 시작하고 있다.

지난 해 경주 강진 발생 이후 잇단 여진으로 노후화된 국가산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국가산단에서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는 지속 발생해 시민 불안감이 높기 때문인데, 용역을 통해 근원적인 안전대책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울산 국가산단은 조성된 지 대부분 50년이 경과돼 기반시설은 노후화하고, 산업시설 집적화로 위험물 및 고압가스는 고밀화돼 있다. 또 원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내 주요 산업시설들이 입지해 있다. 특히 노후 국가산단에 대한 내진설계에 대한 불안감은 높다. 석유화학장치시설의 경우 지진 피해 시 치명적 영향을 노출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국회 산자위 김종훈 의원이 지난 해 9월 경주 강진 발생 이후 산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울산 국가산단 건축물 309동을 대상으로 한 부분조사에서 43%인 134동이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개 업체 시설물 1,683개를 대상으로 한 내진설계 조사에서도 21%인 357개 시설물이 비내진설계였다. 특히 내진설계 규제대상 가스탱크의 경우 494개 중 43%인 212개가 내진설계가 반영이 안된 시설물로 조사됐다. 게다가 국가산단 화재폭발 등 치명적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있는 실정이다. 울산시는 이번 용역으로 체계적인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찾아가겠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이를 뒷받침할 보다 세심한 현실적 방안이다. 행정의 안전도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시민의식을 안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우선과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