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이하 원전해체센터) 유치에 본격적인 시동을 건 울산시가 전략마련에 나선다. 정부가 연구센터 대상지 선정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관련 정부부처 설득뿐 아니라 지역 국회의원의 협조를 요청하는 등 전방위적 유치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울산시는 23일 시청 8층 경제부시장 집무실에서 '원전해체기술 연구센터 유치기획 TF(태스크포스)'를 발족하고, 유치방안을 본격 논의한다.
 이번 TF는 오규택 경제부시장이 총괄하며 시와 울주군 관련부서, 울산테크노파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 상공회의소, 산업계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원전해체센터 유치를 위한 관계 기관별 역할, 유치 논리개발, 협력네트워크 구축, 유치 분위기 조성방안 등이 논의된다.
 시는 유치 논리 개발을 위해 울산지역 연관 산업 실태조사와 입지타당성 분석 등에 착수하고, 원전해체 관련 국제협력사업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4년 시는 미국 에너지부 소속 국립연구소인 PNNL(퍼시픽 노스웨스트), 민간연구소인 SwRI(사우스웨스트연구소)와 MOU를 체결했다. 또 UNIST와 함께 일본대사관 아베 요이치(ABE YOICH) 과학관을 초청해 한일 원전해체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다음달에는 원전 해체 관련 업체들과 학계 전문가들을 초빙해 원전 해체기술 연구 세미나도 연다.

 시는 정부가 정확한 사업 대상지 선정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다양한 경우의 수를 대비할 방침이다.
 우선 원전해체센터의 역할 및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정부의 원자력 관련 업무는 크게 원자력을 이용하는 산업담당 부서인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R&D)을 진행하는 미래창조과학부로 나눠져 있다.

 앞서 미래부는 2014년 원전해체기술 연구센터를 추진했지만 연구개발에 한정된 탓에 2년간 예비타당성조사만 하다 백지화됐다.
 당시 예타에서 경제적타당성평가(B/C) 지수가 0.28로 나와 파급효과, 이윤창출 가능성 등 사업성이 크게 미흡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B/C가 1 이상이면 사업의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때문에 이번에는 경제성 확보를 위해 산업부의 원자력해체 산업이 합쳐져 진행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2014년 당시 규모(사업비 1,473억원)보다 더 커진다.

 또 선정 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다.
 국제원자력기구는 세계 원전 해체 시장 규모를 2030년 약 500조원, 2050년 약 1,000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관련 기술개발에 서둘러야 블루오션을 선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2016년 건립에 착수해 4년 뒤인 2019년 완공한다는 미래부의 기존 계획은 이미 늦어져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 하거나 간소화해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선정 기간이 길어지면 유치 경쟁이 지나치게 과열될 우려도 있다.
 이에 시는 정부의 방침을 기다리면서 다양한 유치 활동을 벌인다.

 유치 분위기 조성을 위해 시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UNIST, 울산테크노파크 등과 공동으로 관련 기술세미나,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국회를 방문해 지역 국회의원 등에 협조를 구하고 관련 부서인 산업부, 미래부, 한수원 등을 방문해 건의활동에도 들어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울산은 시민의 94%가 원전 반경 30㎞ 거주함에도 원전 입지에 따른 수혜가 전혀 없었다. 또 원전해체기술과 관련해 뛰어난 산학연 인프라를 보유하는 등 우수한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다"며 "이 같은 당위성을 알려 원전해체연구센터를 유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창훈기자 usjc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