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노총이 22일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고 그 산하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연가(年暇ㆍ연차휴가)투쟁을 벌인다고 한다. 두 단체 조합원 7천500명은 이날 서울광장에 모여 결의대회도 함께 연다. 서로 시너지(상승)효과를 노린 듯하다. 민주노총은 노사관계로드맵 저지와 비정규직 권리보장, 한미FTA(자유무역협정)저지 등을 총파업 명분으로 내걸고 있다. 전교조는 교원평가제 및 차등성과급 반대를 외치고 있다. 주장하는 바는 서로 다를지 모르지만 국민들의 지지를 못받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은 입장이다. 두 단체 지도부는 지금이라도 총파업 및 연가투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왜 지지를 못받나. 민주노총의 이번 총파업은 '정치성 파업'의 성격이 짙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근로조건 개선이나 복지향상 등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이 총파업 찬반투표를 한차례 연기하면서서까지 투표참여를 독려했지만 참여율이 54%에 불과한 사실이 이를 잘 말해준다.
 전교조도 상황은 비슷하다. 전교조가 교사 서열화니 반(反)교육적 경쟁 조장이니 하며 차등성과급제와 교원평가제를 거부하는 것은 좀처럼 수긍하기 어렵다. 이번 연가투쟁에 찬성한 전교조 대의원은 54%에 불과했다.
 이런 점에서 소속 조합원들로부터도 지지를 못받는 총파업이나 연가투쟁이라면 지금 철회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파업은 노조가 정당한 요구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한 무기"라는 민주노총위원장이나 "연가는 엄연한 교사의 권리로 행동권이 보장돼 있지 않은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전교조위원장의 말도 그 피해자가 경제이고 학생이라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이번 총파업과 연가투쟁은 '민주노총과 전교조의 집단적 이기주의로밖에는 볼 수 없다'는 비판도 있다.
 정부에 촉구한다. 여론의 지지를 못받는 총파업과 연가투쟁에 대해 정부는 말로만 강경 대처할 게 아니라 강행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처리해야 할 것이다. 기업도 파업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다면 배상을 분명히 요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