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설업체치고 ‘죽을 맛’이 아니라고 하는 업체는 거의 없다. 모두가 성장은 고사하고 연명에 목을 매고 있다. 하루하루 돌아오는 어음을 막느라 고리의 사채를 동원하기는 예사고. 이마저 여의치 않은 업체는 덩치가 보다 큰 업체에 ‘투항’하는 사례까지 비일비재하다. 경상경비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보자는 고육책이다. 업종 통합은 이래서 이뤄진다. 회사 규모는 상근 근로자가 기껏 10명 안팎이면서. 시공 면허는 토목 등을 백화점식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는 생존을 위해 인수합병을 거듭해 왔다는 증거다. 그런데도 공사수주를 위한 도급금액과 순위. 시공평가에서는 형편없는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 어느 것 하나도 제대로 하는 공정이 없으면서. 면허만 잔뜩 확보하고 있는 격이다. 이 같은 시공능력 부족은 결국 공사를 직접 수주하지 못하고. 타지 업체가 수주한 공사에 하청을 들어가야 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한다. 여기에는 또 울산광역시를 비롯한 각 기초자치단체의 무관심도 한 몫을 한다. 소위 말해서 우리지역 업체를 좀 더 살찌우려는 ‘악착스러움’이 부족하다. 부산이나 인천. 광주시에서 지역에 대형 국책공사가 발주되면 가장 먼저 지역 업체의 참여율과 범위부터 따지고 든다.
그런데 울산에는 지금껏 공사발주 단계에서부터 ‘우리지역 업체를 챙겨 달라’고 읍소한 단체장이 있었다는 말을 들어본 기억이 없다. 30일. 침체된 지역 건설업 활성화를 위해 개최된 ‘정책토론회’에서 이런 문제점들이 패널들 사이에서 집중 거론된 것은 당연지사다. 먼저 지정토론자로 나선 장병익 울산대 교수가 중소건설업 활성화 방안으로 건설금융에 대한 지원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즉 지역소재 건설업체들이 자금운영이 숨통이 트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최우선이라는 지적이다. 또 대한전문건설협회 울산시회 박영식 사무처장은 “부산과 인천의 경우 지역건설산업육성조례까지 제정. 지역 내 대형공사 인허가 단계부터 지역업체의 참여를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등 자치단체가 앞장 서 지역 건설업체의 공사수주에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울산시의 분발을 촉구했다. 예컨대 지금처럼 국내 굴지의 건설업체들이 울산에서 주상복합아파트나 대형 아파트를 시공하고 있을 때.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얼마든지 지역 업체 참여폭을 넓힐 수 있다는 주장이다. 현재 울산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형 공사판이 적지 않아도 지역 업체로서는 그저 ‘그림의 떡’이다. 이들 공사를 담당하고 있는 1군 업체들은 자기 회사에 기존 등록되어 있는 협력업체들에게만 일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체 스스로도 경쟁력을 키우는 데 각고의 노력을 해야 되겠지만 지방정부의 관심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