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사회는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문제 뿐 아니라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 사회에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 육성의 필요성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속가능한 일자리와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재정지원과 더불어 보호된 시장을 제공하며 사회적기업의 경영역량을 강화하고 사회적기업을 위한 인력양성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성공적인 사회적기업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독립성과 자율성, 2)기업가적이고 현신적이고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 3)유연하고 적응적인 운영, 4)고객과 지역에 초점을 둠, 5)이해관계자의 연계, 6)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경영, 7) 사회적, 환경적, 재무적 성과창출, 8)상품과 서비스의 판매로 재무적으로 양호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성공을 가로막고 있는 애로사항은 1)사회적기업의 가치와 특정부분의 능력에 대한 이해의 부족, 2)사회적기업의 부가가치와 영향에 대한 증거의 부족(사회적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재무적 공헌에 대한 통계의 부족-이는 측정의 어려움에 기인한다-은 정책입안자나 기업지원부 혹은 자금지원부들이 무엇을 하여야 하는냐 하는 목표설정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3)적절한 충고와 지원의 부족과 접근의 어려움, 4)필요한 자금의 인식과 활용, 자금조달에 애로, 5)사회적기업의 특징과 필요에 대한 고려부족, 6) 다양한 기술과 지적배경에 의한 복잡성과 응집성의 부족 등이다.

 이와 같은 것을 고려해 볼 때, 사회적기업을 성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가치를 인식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기업의 창업과 경영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교육,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재양성. 사회적기업은 모험적인 벤처기업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가를 양성하는 과정인 사회적기업가 아카데미가 필요하다. 아울러 사회적기업의 실무자들을 위한 교육과정도 필요하다. 사회적기업가 아카데미가 조직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영마인드 고취 역량함양 과정이라면 사회적기업 실무자 교육은 기업가적인 경영마인드와 더불어 경쟁력있는 직장인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여기에는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관리, 리더십, 마케팅, 재무, 회계 등 기업경영 이론에 대한 강의와 사례연구 및 분석 등 현장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제고시키는 과정이다.

 둘째, 사회적기업 연구 조사지원이다. 사회적기업은 우리에게는 아직 생소하다. 사회환원이나 사회공헌, 그리고 자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고 이미 정착되어 있는 서구사회와는 달리 우리는 이제 사회적기업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더욱이 사회적기업은 국가마다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사실 유럽에서는 1996년 회원국내의 사회적기업을 연구하기 위하여 EMES가 설립되었으며, 2000년 그 결과가 보고되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조사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 및 조사를 실시할 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내외적으로 정보공유와 교류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기업협의체 구성 및 DB 구축이다. 사회적기업은 사회적목적과 경제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 성공이나 지속가능성도 일반적인 기업보다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협의체 구성과 DB 구축이 필요하다.
 노동부를 비롯한 관련 정부부처와 지자체, 경영자단체, 사회적기업가, 민간 전문가, 그리고 관련분야 전문가 등으로 사회적기업지원협의체를 구성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기업과 전문가의 경영 노하우와 전문지식이 사회적기업으로 전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사회적기업의 성공이 지역사회와의 밀접한 유대관계 속에서 달성될 수 있으므로, 지역네트웍크 구축에도 깊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
 넷째, 모델형 사회적기업 발굴 및 육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자활사업을 비롯한 많은 사회적일자리 사업들은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사업이기에는 부족함 있다. 그리고 사회적기업이나 사회적기업가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이는 서구사회에 비교하면 더욱 그러하다.

 사회적기업을 먼저 경험한 외국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사회적기업의 성공을 위하여 사회적기업에 대한 공감대의 형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우선 모델적인 사회적기업을 발굴하여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으로 성공전환 가능성이 있는 모델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선도적인 사회적기업 모델을 창출하고 사회전반으로 확산하여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