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통 캄캄한 밤이나 안개가 짙게 낀 아침이면 앞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 차가 어디에 있는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알 수 없어 세심한 주의를 기울어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 운전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는 수백 명의 승객을 태우고 비행하는 항공기 운항도 예외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통계에 의하면 항공기의 사고는 계기 비행상태에서 많이 생기고 있다. 계기 비행상태에서는 가장 많이 운항을 저해하는 기상현상은 안개, 낮은 구름이고 대도시에서는 스모그, 적설지에서는 눈보라, 사막지대에서는 모래보라 등이 시정을 아주 나쁘게 하는 것이다.
 시정은 계기비행방식, 시계비행방식, 최저기상조건에 관계된다. 시정은 모든 교통기관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기상요소이나, 항공기관에서는 특히 중요한 기상요소인 것이다.

계기비행시 더 많은 사고 발생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착륙 하기 위해서는 이 시정값이 일정 수준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운고라 하여 지면으로부터 구름밑면 까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시정의 정의는 유사한 용어가 많아서 혼돈하기 쉬우나 기상용어로서 시정이라 함은 대기의 혼탁정도를 거리로 나타낸 것을 시정이라고 한다. 단 거리는 다음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즉, 낮에는 어떤 방향의 시정이란 그 하늘을 배경으로 한 검은 목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이다.

 또 야간에는 주간과 같은 밝기라고 가정했을 때의 목표를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이다. 그런데 목표물을 확인한다는 말은 목표의 존재를 확인할 뿐만이 아니라 목표의 모양까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보통시정에는 비행시정, 지상시정, 활주로시정, 활주로 가시거리 등이 있다. 

 시정장애 현상을 주는 대표적인 기상요소로는 안개, 황사, 눈 날림, 대기오염 등이 있는데, 안개로 인한 장애 현상에 대하여 설명을 해보면, 요즘 공항 주변에 짙은 안개로 항공기 운항이 지연되거나 결항되는 일이 있는데 보통 안개는 해가 떠오른 후 대기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소멸되며 바람의 세기도 안개를 없애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짙은 안개는 오후에 들어서도 걷히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기 혼탁정도를 거리로 표시

 실제로 안개로 인하여 목적지 공항에 착륙을 못하면, 이웃한 대체 공항으로 회항을 하는 사례도 생기는데, 이런 경우 이 · 착륙료, 연료비 등 기종에 따라 천만원대 이상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황사가 심할 경우 시정을 악화시켜 항공기의 운항이 제한을 받게 되고 시계착시(Vertigo)의 위험이 있으며, 시정불량으로 인한 항공기의 결항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구체적인 실험결과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황사가 항공기 엔진에 흡입될 경우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사와는 차이가 있으나 1991년 걸프전 당시 사막의 모래폭풍으로 인하여 미군 헬리콥터의 회전날개가 손상된 사례가 있다.

 이 외에도 황사는 미세한 먼지가 항법장비와 정밀감시장비에 들어갈 경우 장비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며, 항공기 표면의 마멸 및 부식을 촉진하고, 공기의 통로와 필터를 막기도 하며, 전기회로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물리적으로 끼워 맞춘 부분에 결함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첨단장비도 안전운항 전제 사용

 그런데 각 공항은 그 지역의 기후적 요인과 지리적 특성, 이착륙 시설의 구비정도에 따라 각각의 최저 기상치가 설정되어 있어 저시정경보가 내렸다고 해서 반드시 이착륙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항공기에는 시정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착륙을 가능하게 해 주는 첨단장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정상운항 시에도 항공기 주변의 지형, 지물 상태를 조종석에 표시해 주는 신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장비의 힘을 빌리는 것도 안전운항의 확보를 전제로 불가피한 상황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안개가 가끔식끼는 계절에 시정이 좋지 않을 경우 항공여행을 할 때는 출발에 앞서 뉴스와  항공정보를 통하거나 해당 공항의 운항 상황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울산공항 기상에 관한 의문사항은 울산공항기상대 289-0365 로 많은 이용 바랍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