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는 당하지 않을 줄 알았습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신고를 받고 현장 출동해서 피해자로부터 제일 많이 듣는 말이다. 전화금융사기는 2000년대 중반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해 이후 수많은 수법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피해 사례 역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피해액이 지난 2016년 1,468억 원, 2017년 2,470억 원, 2018년 4,040억 원으로 매년 60%이상 늘어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도 피해액이 3,056억 원이 발생했다. 메신저 피싱도 지난 2018년 90억 원, 올해 상반기는 70억5,000만 원이 발생했다.


전화금융사기는 검거보다는 예방이 최선이다. 이를 위해서는 진화하는 신종수법 등 여러 가지 유형별 사례를 알아야 피해를 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화된 수법은 △공공 기관 사칭 △대출 빙자 사기 △납치 및 합의금 빙자 협박 △환급금 보상사기 등이다. 최근에는 신뢰할 수 있는 개인정보를 활용한 쿠폰·초대장·청첩장 등을 문자 메세지로 보내는 수법이 늘고 있다.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설치돼 소액결재를 유도하는 '스미싱',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용자 PC를 조작해 금융정보를 패내는 '파밍', 금융기관을 가장한 이메일을 발송해 가짜 은행사이트로 유도 후 범행계좌로 이체하도록 하는 '피싱'도 있다.


가족·지인을 사칭해 급히 돈이 필요하다며 인터넷 뱅킹으로 송금해 달라는 '메신저 피싱'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심어놓고 공인인증서 등 금융 정보를 유출한 뒤 인터넷 뱅킹을 진행할 때 보안 카드 정보 등을 빼내는 '메모리 해킹' 등이 있다. 전화금융사기는 수법이 날로 지능화·다양화 되고 있다. 피해자는 일반적으로 노령층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IT기기 활용에 능숙한 고학력 전문직이나 젊은층으로도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전화금융사기가 불특정 다수의 서민을 대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경찰에서는 전화금융사기를 대표적인 서민경제 침해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찰의 노력만으로는 힘들다. 최근까지 지속적인 홍보를 하고, 보이스피싱 탐지 앱을 개발하는 등 사회적 노력을 하고 있지만, 언론, 지자체, 금융기관과 더 유기적인 협업을 통한 전방위적인 예방 노력과 홍보가 지속적으로 병행돼야 한다. 그 누구도 전화금융사기 피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에 이를 막기 위해서는 누구나 당사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하고, 범죄 수법이나 예방법, 행동요령 등에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 금융정보를 요구하거나 의문스러운 문자는 무조건 의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