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나사리 산 36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5호
지정일 : 1998년 10월 19일
시대 : 조선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울산군에는 봉화가 여덟곳 있는데 이길봉화는 북쪽으로는 하산봉화, 남쪽으로는 아이포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속찬지리지』에 보면, 이길봉화는 동쪽으로는 하산봉화, 북쪽으로는 가리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보면 이길봉수는 울산부의 남쪽 67리에 있다고 하였다. 
『증보문헌비고』 병고 봉수에 의하면 전국 봉수의 주요 간선은 5개 직봉으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제2거(炬)는 동래―서울간으로 직봉 44개와 간봉 110개로 이루어졌다. 
제2거 봉수에는 10개의 간봉 지선이 있다. 
이 가운데 이길봉수는 남해안 제1간봉으로, 동래의 간비오→ 기장의 남산→ 아이→ 울산의 이길→ 가리하산(또는 하산→ 가리)→ 천내→ 남목으로 연결되었다.
해발 129.2m의 봉태산 정상에 있는 봉수대의 중앙 봉돈은 높이 2.4m, 지름 9m의 돌로 쌓은 것이다. 
중앙의 봉돈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직경 약 30m인 환상(環狀)의 담장과 그 외곽으로 호가 둘러 있다. 
담장의 폭은 1.5∼2.5m이고 높이는 1∼2.5m로 지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돌로 쌓은 봉돈과 담장, 담장 밖의 호가 비교적 잘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 곳에는 오장과 봉졸을 배치하여 교대로 지켰다. 
현존하는 봉수대 가운데 비교적 원형을 잘 알 수 있는 봉수대이다. 
봉수대의 해안쪽 바로 밑에는 고리원자력발전소가 있다. 
서생포 방면의 군사정보를 중앙으로 알리는 통신시설의 하나였다. 
조선시대 남해안의 봉수제도와 봉수대의 실태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뉴비전 아트포럼

참여작가 : 김기태·김혜경·박철·박외득·박태영·신금종·안남용 (가나다 순)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서생 이길봉수대. (뉴비전아트포럼 제공)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