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남구 공업탑 인근 전경. 울산신문 자료사진
울산 남구 공업탑 인근 전경. 울산신문 자료사진

백약이 무효다. 한 도시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 동력인 인구 문제에 관한 울산의 고민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런데 난제 중의 난제인 이 문제가 최근 울산의 새로운 이슈로 떠올랐다.

울산시가 최근 2035년을 겨냥한 도시기본계획에서 목표 인구를 기존 150만명에서 135만명으로 대폭 낮춘 것이 발단이 됐다. 주력산업 침체에 따른 일자리 감소와 4년제 정규 대학 부족으로 인한 탈(脫)울산 현상으로 인해 매년 1만명 이상이 빠져나가면서 인구가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 증가는 고사하고 현상 유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특단의 대책이 없을 경우 울산은 15년 내에 광역시 인구의 마지노선이 100만명이 무너질 것이란 위기론이 나온다.

인구 감소에 따른 도시소멸론이 남의 얘기가 아니게 된 울산시는 올해 2월 '울산 인구 증가 대책 2020년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분야별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제 지역 인구 감소 원인을 해소하는 차원이 아닌 선언적인 행정적 계획에 머물렀다는 지적과 함께 실효성에는 의문이 뒤따른다.

문제는 인구를 늘리기 위한 울산시의 방대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울산시가 내놓은 보고서의 장래인구 전망에선 인구 감소폭이 갈수록 가팔라진다는 점이다.

최근 10년간의 울산의 인구는 2000년 처음으로 100만을 넘어선 이후 2015년까지 매년 1% 안팎의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120만 돌파를 앞둔 2015년 118만 9,717명을 기록한 뒤 올해까지 5년간 매년 1만명씩 줄고 있다.

이런 감소 추세라면 울산 인구는 5년 뒤인 2025년 110만명 아래로 떨어지고, 올해 수립 중인 도시기본계획 목표연도인 2035년에는 100만명 유지도 힘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예상이다.

물론 울산의 예측은 이러한 전망과는 다소 차이를 둔 보수적 예상 통계치를 내놓고 있지만, 큰 줄기는 다르지 않은 모양새다.

실제 울산시 인구 증가 대책 2020년 시행계획의 장래인구 추계를 보면, 올해 114만명에서 2015년 111만 7,000명, 2030년 109만 9,000명, 2035년 107만 2,000명, 2040년 103만 5,000명으로 100만명 이상을 유지한 뒤 2045년에는 98만 9,000명으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출산율 감소 등 자연적 인구 감소 요인에 탈울산 등 사회적 요인에 의한 인구 감소가 더해진 결과다.

이와 함께 울산 인구 감소는 무엇보다 1인 가구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울산의 총가수는 2017년 42만 가구에서 2033년에는 1인 가구의 증가로 45만 가구까지 늘어난 후 점차 줄어 2047년에는 42만 가구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가구 유형은 2017년 부부와 자녀로 이뤄진 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47년에는 1인 가구가 주된 가구 유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구 감소와 함께 울산의 인구 문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안이 인구 고령화다. 울산의 고령인구는 지난 2011년 8만 465명(7.1%)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이후 오는 2023년에는 16만 8,060명(15.0%)으로 고령사회에 접어들고, 2028년에는 23만 1,511명(20.9%)에 달해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인구와 함께 경제·사회적 요인에 의한 핵심 인구의 감소도 울산의 도시 경쟁력을 갉아먹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주력산업 침체에 따른 불황으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25세에서 49세에 이르는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2017년 1만 525명이 울산의 빠져나간데 이어 2018년 1만 2,317명에 이어 지난해에는 1만 198명이 탈울산을 선택했다.

이러한 핵심 경제인구의 감소는 지역경제가 2010년대 중반 수준으로 회복될 때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 인구의 감소 현상은 지역 사회적 요인에다 경제적 문제, 문화적 요인 등 복합적인 원인이 얽힌 문제라는 점에서 현재 울산시가 내놓은 인구 대책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울산시는 인구 증가 대책 2020년 시행계획의 분야별 추진 과제로 △출산·보육 친화도시 조성 △기업환경 변화에 선도적 대응 △베이비부머 세대의 체계적 관리 △도시균형개발 및 광역밸트 연대 강화 △도시 생활안전 확보 △울산청년 희망도 지원 △최적화된 워라밸 조성 등 7가지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이들 대책들이 마련된 것은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인구 대책들이 그랬듯이 대책을 위한 대책, 선언적 행정 구호에 머물 경우 울산시가 예측한 대로 오는 2040년 이후에는 광역시 유지도 힘든 인구 100만 이하의 중소도시로 전락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뼈아픈 지적이다.      최성환기자 csh9959@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